-
-
내가 알던 사람 - 알츠하이머의 그늘에서
샌디프 자우하르 지음, 서정아 옮김 / 글항아리 / 2024년 8월
평점 :
이 책은 알츠하이머에 걸린 아버지를 지켜보고 돌보는 아들의 글이다.
저자 아버지의 알츠하이머는 해마와 변연계 어디쯤에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는 새로운 저장한 기억을 떠올리지 못했고 성격도 감정도 표현도 달라졌다.
이 책은 돌본 사람의 이야기라기보다는
노화와 알츠하이머 과정을 함께 한 아들의 이야기에 가깝다.
책 속에서 아버지는 사람을 다르게 알아보았으며, 주변을 배회했으며, 과거의 기억을 오늘의 일로 생각했다. 자신의 질병을 인식하는 '병식' 또한 없었다.
본인에게 병이 있다는 사실을 몰라서 다른 사람을 어렵게 한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어떤 맥락에 놓이게 되는지 이 책은 보여준다. 질병 당사자를 위하는 온전한 방법이나 돌보는 사람이나 가족에게 온전히 합당한 방법은 없어서 시설, 연명의료, 돌봄 사이를 가족들은 오고 갔다. 누가 돌볼지, 어떻게 돌볼지에 대한 이야기가 일상이었다.
질병이 생겨서 뇌를 포함한 몸이 전과 달라졌거나 전과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면 그 몸을 가진 사람은 여전히 그 사람인데, 그 사람 같지 않다. 그렇다면 내가 생각하고 받아들인 '그 사람'에는 특정한 몸 이미지가 있었던 걸까? '온전한' 정신, '멀쩡한' 팔과 다리, '제대로 된' 보행 방식을 포함했던 걸까? 이쯤에서 어빙 고프만의 스티그마가 생각났다. 물리적인 혹은 신체적인 차이 보다 더 사람을 위축되게 하는 상징적인 차이의 체계를 스티그마로 나는 이해한다. 치매라서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침대에만 누워 있다면 '사람 답게' 살지 않는 것일까? 살 가치가 없는 것일까? 애초에 걷지 못해 침대에서만 일생을 보내는 사람도 있는데? 맥락이 중요하겠지만 나는 치매가 죽어야 할 이유라기 보다는 보는 사람이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고민하게 하는 주제라고 생각했다.
웹 사이트에서 영어 원제를 검색하다가 아마존에 쓰인 리뷰 제목을 봤다. '슬프고 가슴 아프다'고 했다. 동감한다. 나는 읽으면서 최현숙의 《작별 일기》가 떠올렸다. 작별 일기도 슬프고 가슴 아픈데, 이 책처럼 부모의 죽음에 더해 그 죽음에 놓인 돈, 형제들, 유산, 돌보는 일등 구체적인 맥락이 곳곳에 놓여 있어서 이 구체성이 매우 와닿았다.
이 책의 원제는 《우리 아빠의 뇌 - 알츠하이머의 그늘 안에서 사는 삶》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데 뇌 이야기도 하기 때문에 본문과 어긋나는 제목은 아니나 한글 번역본 제목인 《내가 알던 사람》이 더 직관적이긴 하다. 내가 알던 사람과 내가 알게 된 이 사람이 다를 때, 그리고 그 사람 자체가 사라진다는 걸 알게 되었을 때 나는 어떻게 붕괴되고 무너지면서도 다시 일어날 수 있을까? 이 책에 답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나는 내 죽음 방식을 생각했고 내 죽음을 예견하는 사람들을 생각해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