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히틀러의 음식을 먹는 여자들
로셀라 포스토리노 지음, 김지우 옮김 / 문예출판사 / 2019년 12월
평점 :

그들이, 그녀들이 전쟁중에 살아남은 이야기.
원래 전쟁이라고 하면 여자들보다는 주인공들이 남자들일 경우가 많다.
그 이유가 실제 전장에서 생사가 오가는 사람들인 군인들이 남자이니까...
그렇다보니 그들만 힘들고 괴로울뿐 여자들은 흔히들 편히 지낸다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 책에 나오는 로자와 엘프리데, 레니 등은 매일매일이 목숨을 건 마지막 날이자 첫날이였다.
그녀들의 역할은 히틀러가 먹을 음식을 먼저 먹어보는...
우리가 아는 기미상궁의 역할을 한다.
그것도 한가지 음식만 준비하면 히틀러가 굶어야 하니 전체 10명이 5종류의 음식을 나눠먹으며 음식이 괜찮은지, 위험하지 않은지를 판별받는다.
물론 그녀들의 애인, 남편과 가족은 독일인들로 전장에 끌려간 상황.
그런 생사를 넘나들 상황에서 다행이도 아무도 죽지 않는다.(이 대목에서 난 히틀러 주변인들이 진정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꾀임에... 돈에 넘어갈 법도 한데 말이지...)
이런 전쟁중에 그녀들은 심경의 변화를 갖게 되고 이 책은 그런 감정에, 특히 주인공 로자의 감정변화를 충실히 따라간다.
물론...
내가 그 상황을 겪지 않았기에 그녀의 편이 들어지진 않지만 그럼에도 그녀 나름의 그럴 수 밖에 없지 싶어진다.
이 책의 제목만 봐서는 주인공이 유태인일 것이다 생각했는데, 로자는 순수 혈통(그때 그녀를 분류한 사람들은 그리 표현하겠지?)의 독일인이고, 로자 이외에 다른 사람들도 다 독일인으로 나온다.
처음엔 저자의 상상이겠거니... 했지만 이게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니...
맞겠지?
그나저나...
우리가 알던 2차 세계대전때 유태인 학살을 다들 좋아했다고 묘사되는 책이나 영화가 많은데 비해, 이 책에서는 그들도 한 인간으로 고뇌하고 그 때문에 정신적 피해를 입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앞부분은 다소 어려워 쉬 집중이 안되었지만 로자가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면 술술 끝까지 잘 읽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