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수학 탐 청소년 문학 20
오조 유키 지음, 고향옥 옮김 / 탐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에 미친자들의 이야기(수학몰라도 읽는데 지장없음!!!)

제목에 수학이란 단어가 나온다.
그래서일까 사람들에게 재미있다고 말했더니 다들 하는 말이...
"수학을 싫어해서..." ㅋㅋㅋ

하지만 이 책은 수학을 몰라도 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다.

그만큼 이 책의 내용은 배경에 수학이 들어가지만 실제 수학을 풀어가는 이야기라기 보다는 무언가에 미친 사람들의 이야기이고, 그 대상이 수학이라는 사실뿐...

우리는 흔히 말하길 재능이 없으면 하지 말아야하고 포기해야 한다고 한다.
과연 그럴까?
이 책엔 수학을 좋아하지만 능력이 없는, 재능이 부족하여 수학을 끝까지 할 수 없는 사람들이 나온다.
과연 그들은 수학을 포기해야할까?
그럼 그 재능이란 것의 기준은 무엇일까?

주인공인 가야마도 물론 수학에 재능이 있는 학생이다.
하지만 그는 결국 지고 만다.
그럼 졌다고 그는 재능이 없는 것일까?
게다가 그가 수학을 하는 이유는 따로 없다.
그냥...
수학이 좋으니까...
수학을 하는 동안은 행복하니까...
그래서 수학을 계속 하지만 사람들은 그에게 수학을 왜 하는지 이유가 있어야 한다고 말을 한다.
그리고 그 해답을 찾고자 E2에 들어간다.

그런 일련의 과정을을 거치며 가야마는 또 자라고, 수학을 왜 하는지 스스로 이유를 찾아간다.

중간에 보면 가야마가 문제를 증명하는 동안 무의식속에 빠지는 부분에 대한 묘사가 있다.
그 부분이 바로 푸른수학인 것!
그럼...
과연 그럴 수 있을까?
그건 아마 무언가에 미쳐본 사람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 수학은 새로운걸 찾아내도 되지만 기존에 이미 증명된 부분들을 좀더 매끄럽고 쉽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로이 공식을 세우는 것도 수학자의 역할이라고 한다.
그럼 그런건... 과연 천재같은 재능이 있는 사람만 가능할까?

사실 나도 고등학생때 이미 증명되어 기정사실로 되어있는 부분들의 일부 증명식과 방식을 새로이 찾아낸 적이 몇번 있다.
물론 나야 입시에 필요한 부분에 한하였기에 이미 나와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렇게 하면 더 쉽고 더 이해하기도 편하여 친구들은 내 방법으로 문제를 풀곤 했었다.

나도 수학에 좀 미쳐있었다.
(어쩌다보니 전공은 못했지만...)
그런 면에서 여기에 나오는 소마가 하는 말에 급 공감하게 된다.
"난 수학이 좋은데..."
그런데 좋으면 무조건 남보다 다르게 뭔가를 깨야하나?
그건 아닐꺼다.
그냥... 좋은건 좋은거로...
좋아서 미치는건 그걸로 만족할 수 있는 것 또한 필요한건 아닌건지...

그나저나...
우리나라에도 이렇게 무언가에 미친 아이들만 키우는 그런 교육법이 필요한데 말이지... ㅠㅠ
에잇!!!
부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