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가, 작은 새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례식
마거릿 와이즈 브라운 지음, 크리스티안 로빈슨 그림, 이정훈 옮김 / 북뱅크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와 공원 나들이를 하다 보면, 종종 죽어있는 곤충 들을 보게 된다.

 류니가 곤충들을 만지려고 하자,  "지지야~~만지면 안돼~" 라고 말하며 더럽다고만 이야기하려했지,

"죽은거야 만지지마~" 라고 하며 죽어있단 설명을 해주지 않았었다.

이 아이가 '죽음' 이란 걸 이해할까?


사실 죽음이란건 어른들도 피하고만 싶고 회피하려하는 그런 단어인듯하다

 


엄마인 나도 죽음이란걸 어떻게 받아들여야하고 , 어떻게 설명해줘야할지 모르는데,
 아이는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의문이 들었다.언젠가는 알아야 할 죽음 이라는 단어.
그림책에서 이 것을 다루어 표현했다는데 궁금하기도 하고, 아이와 함께 읽어보고싶었던 책이다.
 
책 날개 부분에 먼저 시 처럼 보이는 글이 보인다

 

 

아이들은 다 함께 노래했어요.
잘가, 작은 새야.
저 하늘의 새들처럼
멀리 날 수는 없지만
우리가 노래 불러 줄게.
깊이 잠든 널 위해.
작은 깃털 새야.
따뜻한 흙 속
풀잎과 곷잎 사이에 누워
이제 날 수는 없지만
우리가 노래 불러 줄게.
잘자, 작은 새야.
깊이 잠든 작은 새야.

 

 

 

부표지에서 귀여운 아이들의 모습이 보인다. 아마 이 책 속 등장인물들 인듯 하다.


공원에서 놀다가 죽은 새를 발견한 아이들.

 

 

 

높은 빌딩 들이 보이는 걸 보니, 도시 속 공원인 듯 하다.
연을 들고있는 한 아이, 동물가면 을 쓰고있는 아이,
아마 한창 공원에서 신나게 놀고있던 중,
이 작은 새를 발견하여 놀랐을법도 하다.
'새는 아이들 손 안에서 조금씩 차가워졌어요'
숨을 쉬지않고 차가워진 새. 그리곤 몸은 딱딱하게 굳어져 가는 걸 보고
아이들은 이 새에게 '죽음' 이 다가왔다는 걸 알게 된다.

 

책 속에서
'동물이 죽으면 심장이 멈추고
몸이 차츰차츰 차가운 돌처럼 딱딱해져요.' 라고 언급해주는데.
책을 읽는 어린 독자들에게  '죽음' 이라는 것을 이해하기 쉽도록 쉽게 설명을 해주는 것 같다.
아이는 죽은 새 를 두손으로 조심히 들어올려 무덤을 만들어주려고
이동한다. 조심스럽게 작은 새를 대하는 모습을 보니
참 다행이란 생각도 든다.
생명을 소중히 여길 줄 아는 아이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던 모습.

 


아이들은 숲으로 이동하여 누군가 죽었을때 어른들이 하는 것처럼

 

땅을 파서 새의 무덤을 만들어 준다.
그림을 보면 한 아이는 노란 들꽃을 꺽는 장면도 보이고
한 아이는 포도나무 잎으로 새를 조심히 감싸 눞여준 모습도 보인다.
그들의 모습은 꽤 진지해보인다. 어떻게보면 아이들이 소꿉놀이를 하는 모습처럼 보일 수도 있을 법하다.
그리고, 다음장에서 책 날개 부분에서 봤던 그 노래가 다시 나온다.

 

"잘가 작은 새야 저 하늘의 새처럼 멀리 날 수는 없지만~(중간생략) 잘자, 작은 새야, 깊이 잠드 작은 새야."

 

 

아이들은 새를 생각하며 눈물을 흘리며
어린 새 무덤에 흙을 덮고 꽃 무덤 위에 돌 하나를 세워준다.
'작은 새 여기 영원히 잠들다.'
슬퍼하는 어린이 옆에서 강아지는 눈물을 닦아주는 장면도 나오는데,
이 아이들의 이쁜 마음에 절로 미소가 지어지더라..

 

아이들은 하루도 빠짐없이 와서 죽은 새에게 노래를 불러준다,
그 새를 까맣게 잊어버릴 그 어느 날 까지..

마거릿 와이즈 브라운 의 고전 동화 <잘가, 작은 새> 가 새로운 삽화로 재탄생한 그림책.
이 책 글은 1938년에 처음 쓰였다고한다.
역시 좋은 작품은 계속 독자들에게 읽혀지게 되는 듯 하다.

어쩌면 어둡고 슬픈 내용일듯한 스토리를, 아름다운 그림체로 표현해낸듯 하다.
제목만 봐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례식 이라고...
오히려 따뜻한 느낌으로 잘 풀어낸 듯 하다.
죽음에 대해 너무 심각하지도, 과장하게 표현하지 않은 그림책.
순수하고 아름다운 아이들의 마음을 예쁘게 담아낸 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