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 드러커를 읽는다면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 드러커를 읽는다면
이와사키 나쓰미 지음, 권일영 옮김 / 동아일보사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너지가 피터드러커를 읽는다면을 읽는다면?? 
하루키<1Q84>를 누른 모시도라 한국어판 

 일본내에서 250만부를 돌파 2010년 일본 서점 연간 판매 1위를 차지한 바로 그 책을 읽어보았습니다. 
이 책의 모티브는 경영학( Management )고전과 청춘소설의 만남에 있는데, 사실 이 모시도라로 일컫어지는  이 책을 처음 넘기면... 문화적인 차이에 휩싸이게 됩니다.

 배경과 성격에 대한 암시를 전제로 시작하는 전형적인 한국소설과 달리... 시작은 고교야구부의 여자 매니저인  미나미라는 주인공이 "저는 우리 야구부를 고시엔 대회에 진출시키겠습니다."하는 선언에서부터 시작합니다. 

20년전 지역예선의 16강에 진출한 것이 유일한 학력지상형의 호도고등학교에서 그녀의 당돌해보이는 발언은  오덕후의 전형성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일본이란데는 스토리전개상의 개연성도 없고, 난데없이 잔다르크라도 된듯 고시엔대 대회에 진출시키겠다고 합니다. 

 ’매니저’가 어떤 역할인지도 모르는 미나미는 곧장 매니저먼트에 관한 책을 사게 되는데, 그 책이 바로 경영학의 아버지 피터 드러커의 저서 <매니지먼트> 였던것이죠.   이 책을 훑어보며, 머리골몰하던 미나미는 사업가를 꿈꾸는 팀동료 마사요시에게서 매니저가 추구하는 목표성에 하나둘씩 접근하게 됩니다. 

 즉 어떤 계층을 타깃으로 해야하고, 그들이 원하는 가치관은 무엇인지에 대한 깨달음이죠. 이런 과정속에서 절친한 친구 유키에게 마케팅이라는 고객친밀화단계를 맡기게 됩니다.  병문안 면담으로 칭해진 그 과정을 통해 내면속에 있는 팀원들의 생각을 공유하게 되고, 그것에 따라 훈련프로그램도 완성이 됩니다. 

더불어 기존의 나태한 틀에서 벗어나려는 일련의 ’이노베이션’이 속해있던 지역사회에 시너지효과를 파생시키고, 결국 고시엔대회에 진출하게 됩니다. 본질적으로 읽으면 읽을수록 빠져들게 되는 책이며, 상경계열 전공자인 제 입장에서 평상시에 ’매니지먼트’의 역할을 인지하면서도 실천안되던 방향이 미나미라는 엉뚱함에서 청량하게 풀리는 느낌이 듭니다. 

 사실상 미나미는 야구에 대한 열정이 넘쳐나는 소녀였습니다. 그런데, 한창 재능을 펼칠때 남녀라는 신체적인 한계때문에 자신의 꿈인  ’프로야구선수’의 꿈은 좌절됩니다. 그래서 그순간 야구에 대한 겉으로의 무관심이 시작되죠. 

 처음엔 돈키호테식의 섬머슴이었던 근성은 점점 진지함으로 바뀌고, 추구하는 가치관에 대한 대상은 무엇인지, 대상은 어떤것을 원하는지에 대한 탐구로 이어지게되고, 그것들이 개개인의 동기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전혀불가능으로 보이는 것들을 가능으로 바꾸는 마법을 연출하는것이죠. 
 
 신문용지와 같은 편안함으로 넘기면 넘길수록 열정을 발휘하게 해주는 책...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일것같지만... 다양한 매니아층이 많은 일본의 근원적인 문화에 대해서도 가까워지는 책이며, 경영학이라는 인간관계를 읽어나가는 하나의 지식을 편안하게 마주할 수 있는 책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드러커를 읽는다면> 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