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의학으로 읽는 발의 과학 - 족부 질환 예방과 발 운동의 모든 것
손성준.이재훈 지음 / 현익출판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현익출판 제공, 문화충전200 주최로 무상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발은 제 2의 심장 

오장 육부 어디 할 것 없이 중요한 신체... 그 중에서도 발 건강은 중요하다. 혈자리가 모여있는 인체의 축소판 이라 한다. 고단한 피로를 해소할 때도 발 마사지는 기본이다. 발이 건강할수록, 신체활동량이 늘어날 수 밖에 없다. 발이 아파지기 시작했다. 자고 일어나면, 터질듯한 고통을 동반했다. 요추 몇 번 압박골절에서 시작한 방사통은 온 몸의 피로도를 높였다. 치명적이었다. 특히 발의 피로도는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자다가도 발등 에서부터 종아리로 올라오는 끊어질 듯한 통증은 몸을 제대로 가눌 수 없을 지경 이었다. 근력이 떨어진 영향일까? 



아프니까 건강이다.  

치명적인 부상을 입기 전 까지, 난 요추 건강을 생각해본 적 없었다. 몇 시간을 걸어다녀도 전혀 피곤함도 없었고, 허리를 굽히면 바닥 끝까지 손바닥이 유연하게 닿아 있었다. 하지만 사고는 불시에 찾아왔다. 그러고나니, 내 척추의 상태를 신경쓸 수 밖에 없었다. 조금이라도 통증완화에 도움이 된다면, 몸에 학습화 하려 했다. 「발의 과학」 은 내게 유용한 책 이었다. 발에 관한 자타공인의 전문가들이 얼마나 발의, 발에 의한, 발을 위한 건강한 이야기를 할까? 기대감이 컸다. 


「발의 과학」  책 페이지는 형광을 배제하고 있다. 해를 거듭할수록, 종이는 짙게 노르스름한 빛깔을 품을 것이다.  생각보다 빼곡하게 채워진 활자의 궤적에 제대로 읽을 수 있을까? 하는 긴장도 몰려온다. 하지만 발의 인체용어로 서술된 것에 적응하고 나면, 흐름이 읽혀진다. 저자는 재활의학과 스포츠과학의 지식으로 책에서 발과 발을 편안하게 하는 운동처방, 인솔 에 관해 말하고 있다. 



 중학교 때, 이미 내 발사이즈는 280mm를 넘어섰다. 지금은 300mm 이상의 초대형 사이즈도 드물지 않은데, 그땐 유난히 내 신발은 항공모함 사이즈였다. 어느 순간부터 신발의 무게가 발을 답답하게 죄는 것을 느꼈다. 당시의 농구화 등 스포츠 신발은 '에어' 고탄력성을 기본으로 해 묵직했다. 스포츠 과학의 발전 때문인지, 일반인들이 신는 신발이 예전과 비교할 수 없이 가벼워졌다. 


 

6장으로 구성된 「발의 과학」  첫 장은 진화를 거듭한 인간의 발이 침팬지의 발과 어떻게 다른 지를 보여준다. 직립 보행을 하면서, 평평한 형태에서 집게 형태로 뼈와 관절로 지상환경에 대한 진화를 이어간다. 즉 신체활동의 균형을 잡는 핵심축으로 발이 진화된 것이다. 의학 기술의 발달로 우리의 기대 수명은 길어지는데, 중요한 건 건강 수명 이라 할 것이다.  


 

「발의 과학」 은 발의 건강에 유용한 다양한 운동 처방을 소개하고 있다. 운동 모션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어, 집에서도 틈틈히 활용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세한 건강경보에 대한 경험적 서술이 기반되고 있다. 약간 논문형태의 딱딱함도 있었다. 케바케 식의 접근을 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것이다. 재활 의학의 경험으로 상당한 호전을 누리게 된 경우를 소개한 다거나, 평발의 상황에서 어떤 제품 개발의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는지 소개한다면, 훨씬 흥미롭게 전개되었을 것이다. 물론 의학적인 지식이 수반되어야 하니, 여러 번 정독을 통해, 직접 신체활동에 실천적으로 접목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