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학독서평설(12개월 정기구독)
지학사(월간지) / 1994년 1월
평점 :

[똑똑한 도서소개] 지학사, 중학 독서평설 2025년 2월호
글 / 사진 : 서원준 (news@toktoknews.com)

2025년 새해가 시작된 지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벌써 2월도 다 간 듯 합니다. 연일 바람불고 추운 날씨는 계속 이어집니다만 곧 봄이 도래할 것 같습니다. 환절기 건강관리 잘 하시고 2025년 한 해도 건강하게 보내셨으면 합니다. 필자는 공부와 자격증, 독서, 필사를 주로 해서 올 한 해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중학생들이 보는 독서 전문 정기간행물과 함께 독서 전반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시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
독서 평설 월간지는 크게 4종류가 있습니다. 첫걸음. 초등, 중학, 고교 이렇게 있습니다. 모두 해당 나이대의 학령기에 있는 학생들, 또는 학부모들이 보는 대표적인 정기간행물이 바로 독서평설이 되겠습니다. 필자가 독서평설을 맨 처음 만났을 때에는 고교 독서평설부터 읽었습니다. 그런데 고교 독서 평설을 막상 읽어보니 간만에 하는 독서인데다가 필자로서는 어려운 내용들이 많았고 무엇보다 사회적 이슈를 다룬 내용들이 더러 있어서 독서를 해야만 하는 필자 입장에서 보면 대단히 이해하기 힘들어서 중학생들이 보는 독서평설로 2025년부터 방향을 틀게 된 것입니다.

나라의 현재 상황이 워낙 예측불허인 것도 중학 독서 평설로 정하는데 한몫 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괜히 논란이 되는 내용이 있는 시사 이슈가 포함된 독서평설을 봐야 아무 쓸모가 없다고 제 개인적으로 생각했습니다. 보다 쉽고 보다 간결하며 다양한 내용을 다루면서도 시사쪽이 거의 없는 독서와 관련된 정기간행물을 찾게 되다 보니 결국 중학교용 독서 평설을 보게 되었습니다. 자, 그러면 2025년 2월의 중학 독서 평설은 어던 내용을 다루었는지 살펴보도록 하갰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잡지는 중학 독서평설 2025년 2월호입니다. 야기서는 둘 이상의 교과목과 연계되어 있는 통합 교과 특집에서 "디지털 세계의 보이지 않는 손" 애 대해서 다뤘고, 독다 여러분들이 한 번씩은 써 보셨을 자기소개서 중 자기 주도 학습 과정의 작성 요령이 나와 잇습니다. 그리고 202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님의 시 중에서 "어느 늦은 저녁 나는" 이라는 시도 게재되어 있습니다. 교양 파트 중에서는 청소년 건강백서 중 운동습관 만들기가 눈길을 끌었습니다. 비록 청소년 용이긴 하지만 오십이 된 필자 입장에서 아주 중요한 내용이었습니다.

마치면서
"중학 독서평설 2025년 2월호" 는 이 외에도 문장의 정확성에 대해서 풀어서 설명한 "문장은 가능한한 정확하게 써야 해" 가 눈길을 끌었고 "사회 이슈 브리핑" 에서는 서울대가 신입생 글쓰기 시험을 의무화하도록 했다는 콘텐츠가 필자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렇듯 중학 독서 평설은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좋았는데요. 앞으로도 필자는 독서 평설 등과 같은 월간지를 자주 보면서 책과 친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지식을 많이 쌓음으로써 각종 자격증시험에 대비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