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6 - 국내 최고의 전문가가 집필한 특목고 및 명문 이공계 대학 논구술 대비 필독서 과학이슈 11 16
김필수 외 지음 / 동아엠앤비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똑똑한 도서소개] 동아엠앤비,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6


글 / 사진 : 서원준 (news@toktoknews.com)



2025년 새해가 시작된 지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벌써 2월도 보름을 넘어 하순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날은 춥지만 곧 봄이 도래할 것 같습나다. 환절기 건강관리 잘 하시고 2025년도 건강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2025년은 다른 해에 비해서 전세계적으로 큰 사건이 연이어 터지며 벌써부터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낼 것 같은 예감입니다. 필자는 공부와 자격증, 독서, 필사를 주로 해서 올 한 해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최신 과학 이슈를 정리해 보는 도서를 통해 과학 관련 지식을 쌓고, 특히 최근 과학계에서 주목받는 여러 다양한 화제거리에 대해서 충분히 분석해 보는 시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 


지금의 대한민국을 들여다 보면 이런 부류가 대부분입니다. 덜떨어진 지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신은 고지식하다고 티를 내지만 무식한 것으로 보여지는 사람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필자가 가지고 있는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능이 문제가 아니라 책을 읽는 시간이 부족해서 그렇다는 것입니다. 문제의 핵심을 이루는 사상이란 무엇일지 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보이지 않습니다. 과학과 수학 관련 도서를 많이 읽으면 이러한 사상에서 한 걸음 떨어져서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과학 관련 지식은 거의 외국에서 들어온 것이 많습니다. 이유는 과학기술을 장려하는 정책이 부실하기 짝이 없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혁신을 요구하는 정부가 들어선다면 과학기술 발전은 살아날 것 같습니다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런 현실이라면 과학 관련 도서라도 부지런히 탐독해야 할 것입니다. 만약에 이마저도 쉽지 않다면 방법을 찾아내야 합니다. 하다하다 안되면 중고생들이 다음 스테이지 (특목고, 이공계 대학)로 진출하기 위한 용도로 편찬된 교재라도 읽어야 합니다. 일반인들이 과학 관련 현재 이슈를 책 또는 활자 매체에서 이해하기란 쉽지 않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도서는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6" 이란 책입니다. 이 책은 언론에서 다루는 가장 큰 사건 때문에 뒤로 밀려나 있는 과학 관련 핫 이슈를 제대로 다루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만 합니다. 특히 이번 호에서는 오픈AI의 GPT-4o에 대한 설명을 다루고 있어서 매우 유익했는데요. 생성형 인공지능의 최신 트렌드와 소식을 제대로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외에도 중요한 최신 과학기술 관련 트렌드가 많이 나왔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마치면서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6' 이 "특목고 및 명문 이공계 대학 논구술 대비 필독서" 라 적혀 있다는 이유로 무시하면 절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 과학 도서를 특정 계층의 분들만 보는 거 아니냐고 하실 수 있고 또한 그렇게 알고 계실것입니다만 과학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은 이 책을 꼭 읽으시기 바랍니다. 과학 관련 지식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처음 듣는 내용이라도 쉽게 설명해 주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특정 계층만 보는 책이라고 하더라도 다 쓸모가 있는 것입니다. 새로운 과학 이슈가 궁금하다면 이 책을 보시는 것도 나쁜 선택은 분명 아닐 것이라고 생각해 봅니다. 


[이 리뷰는 책과콩나무서평단 자격으로 동아엠앤비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