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백합의 도시, 피렌체 여행자를 위한 인문학
김상근 지음, 하인후 옮김, 김도근 사진 / 시공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똑똑한 서평씨] 여행자를 위한 인문학, 붉은 백합의 도시 피렌체


본 서평은 시공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SGP001.JPG

 

글 / 사진 : 서원준 (news@toktoknews.com) 


필자로서는 충분히 읽어보고 서평을 써야 원칙이겠지만 급박하게 서평 활동을 시작한데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해서 마구잡이로 서평단을 신청한 탓에 아직은 다양한 곳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많음을 고백하고자 한다. 여러가지로 아쉽지만 출판사에서 등록한 책 소개를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는 것으로 대체하고자 한다. 


이번 포스팅은 여행자를 위한 인문학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우리는 인문학이라 하면 지루하고 딱딱하게 느껴질 때가 많다. 그런데 붉은 백합의 도시 피렌체란 책은 조금 틀린데 왜 그런지 출판사 책 소개를 중심으로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SGP001.JPG

 

SGP002.JPG

 

SGP003.JPG

 

SGP004.JPG

 

SGP005.JPG

 

SGP006.JPG

 

SGP007.JPG


필자는 피렌체라는 도시를 이름만 들어봤을 뿐 역사적 배경지식과 생활상에 대해서는 잘 몰랐다. 이 책을 접하고서야 자세한 것을 알게 되었다. 피렌체는 일반인들에게는 예술의 도시로 알고 있다. 


피렌체는 중세의 암흑을 걷어낸 르네상스의 도시이자, 세계에서 가장 많은 미술품을 소장한 우피치 미술관이 있는 도시이며, 미켈란젤로와 다 빈치의 작품으로 장식된 도시다. 『신곡』 의 저자 단테 알리기에리, 『군주론』 을 썼고 중, 고등학교 시절 들어봤음직한 정치 사상가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이 도시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눈을 돌리는 곳곳마다 예술 작품으로 가득하고, 거대한 브루넬레스키의 돔이 관광객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곤 한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인 김상근 교수는 우리에게 “피렌체는 결코 아름답기만 한 도시가 아니다” 라고 말한다. 피렌체의 겉모습만이 아니라 그 역사를 들여다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서 저자가 맞이한 피렌체 여행의 가이드로는 피렌체에서 태어나 피렌체에서 전성기를 맞았고 피렌체에서 죽은, 심지어 『피렌체사』를 집필하기도 한, 우리가 “군주론” 이라는 저서로 유명한 마키아벨리를 선택하였다. 500년도 더 전의 인물이나 마키아벨리보다 피렌체의 진면목을 더 잘 보여줄 수 있는 인물은 없었기 때문이다.

 

SGP008.JPG

 

SGP009.JPG

 

SGP010.JPG

 

SGP011.JPG

 

SGP012.JPG

 

SGP013.JPG

 

SGP014.JPG

 

SGP015.JPG

 

SGP016.JPG

 

SGP017.JPG

 

SGP018.JPG

 

SGP019.JPG

SGP021.JPG

 

SGP022.JPG

 

SGP023.JPG

 

서평을 마치면서 


필자가 피렌체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처음에는 잠이 한가득 쏟아졌었다. 그런데 책을 조금만 읽어도 그 동안 피렌체에 대해서 몰랐던 지식을 알게 될 때마다 정작 학교에서는 이런 지식은 왜 안 가르쳐 주는지에 대한 분노가 일게 되었다. 특히 마키아벨리를 통해 피렌체의 진면목을 학습할 때 등골이 오싹해질 정도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