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걸인 사무엘 - 세상을 바라보는 눈과 지혜에 관한 우화
브누와 쌩 지롱 지음, 이지연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세상을 바라보는 눈과 지혜에 관한 우화라는 주제로 조금은 단순하고 가벼운방식으로 다가 오는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그 내용이 전혀 단순하지 않고,무겁고 깊다는 느낌을 받았다.
우리는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자기 삶에 가치를 부여 할수 있는건 자기 자신뿐이란걸 알아야 한다.
누구도 자기대신 인생을 결정할수 없고, 살아줄수 없으며, 오직 자신만이 자신이 선택한 결과에
책임을 지고 살아가게된다.
주인공 사무엘은 경력도 없는 가난한 취업준비생이다. 번번히 면접에서 떨어지는 그는
도서관의 많은 책들을 거의 다 읽다시피 한 청년이기도 하다. 우연히 도서관 사서와의 만남을 갖게되고
그 사서의 제안으로 파란 문고판 서적을 얻어 그의 인생이 변하게 된다.
여기서 또다른 주인공 장자크가 나온다. 억만장자인 아버지 덕으로 항상 풍요롭게 살지만
삶에 있어서 자신이 해야 할일과, 어떻게 사는것이 진짜 사는것인지 모르는 채로 살아가다 집사 앙뜨완과
길거리에서 만난 걸인을 통해서 점점 변해가는 자신을 바라보며 삶에 대해서 돌아보게 된다.
양로원에가서 노부인과 만나 얘기도 나누고, 병원에 가서 말기 암환자와도 많은 얘기를 나누며
점점 성장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나중에 장자크는 걸인이 사실은 엄청난 부자라는 사실을 알게되고
걸인 행세를 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자비심을 알게해주려 한다는것도 알게 된다.
걸인은 이제 장쟈크에게 자기대신 걸인을 해보라고 권유한다. 시간이 많이 드는것도 아니고
마땅히 놀고 먹고 밖에 할께 없었던 장자크는 처음엔 망설여졌지만
걸인을 통해서 자기가 더 많은것들을 얻을수 있을거라는 생각에 받아들인다.
걸인을 변장하고 길거리에 나 앉은 그는 수치심이 뒤따르게 되지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길 기대하며
사람들이 다가오길 기다린다.하루하루를 하릴없이 보냈던 장자크의 변화를 통해서 작자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글중 걸인이 장자크에게 햇던 글귀가 아직도 눈에 선하다
-우리 자신은 자기를 완벽하게 생각하고 싶어하는 경향이있다. 그래서 자기가 저지른 잘못애 대해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 먼저 자신을 용서하라. 나는 신이아니다. 사람이므로 실수에 대해 고맙게 생각한다.
내가 인간임을 일깨워주니까..이를 통해 흔히 일어날수 있는 일을 가지고 스스로 자책하며
괴롭히는 일을 멈추게 된다.- 지나간 실수에 연연하다보면 현재의 삶에 충실할수가 없다.
그러다보면 반복되는 삶속에서 즐거움이 없어질것이다. 사람은 누구나가 실수를 한다.
실수를 했다고 해서 자책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잘 하면 되는것이기 때문이다.
'카르페디엠!' '현재 이 순간을 살아라' 얼마나 좋은 말인가. 지금 현재를 사는것이 제일 중요한거 같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서 사회가 진보됨에 따라서 사람의 편리함은 증가하였지만,
건겅이나 재난등의 문제는 과거의 모습보다 심각해지는것을 다시한번 느꼈다.
기업들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정책으로 인해서 사회가 병들어가고 사람들의 인식과 몸이
병들어 가고 있는것이다. 발전했다는것에 좋아할것만 아니라 지금 주위의 현실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것인지도
파악해 봐야 할 문제인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