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성전 시대를 구성하는 대략 600년은 다시 4개의 뚜렷이 구분되는시대로 나눌 수 있다 연대표 참조. 각 시대마다 발생한 역사적 변화 때문만이 아니라 각 시대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고 종종 직접적으로 대응한유대 문헌들이 생산되었기 때문에 그 시대들을 분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P38
헬레니즘은 그리스의 통치 아래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부과된 삶의 방식이었다. 이것은 유대인들에게 몇 가지 중요한 도전을 주었다. 헬레니즘 시대의 이스라엘과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직면한 도전은 그리스어와 그리스적 삶의 방식을 받아들이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라 그것은 단순히 주어진 것이었다 오히려 여전히 자신들의 뿌리와유대적 정체성에 충실하면서 어느 정도까지 헬레니즘을 받아들일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헬레니즘 유대교에 큰 도전이었다. - P40
오늘날 우리가 성경 시대 이후로 유대교에서 논의되어 왔다고 생각할수 있는 많은 종교적 주제들이 있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구약에는그것들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주제가 종교적 담론의 주요한 현안이 된 것은 오직 신구약 사이의 시간적 공백기 동안이었다. 그러한 주제는 이스라엘의 회복을 가져오기 위해마지막 때에 오실 신적 대리자인 메시아에 대한 기대, 우주론과 귀신 그리고 더러운 영들에 대한 관심, 유대인의 관습과 정체성을 정의하는 규칙서로써 토라에 대한 초점, 사후에 인간에게 일어날 일들에 대한 관심,그리고 죽은 자의 부활과 내세에 대한 희망을 - P51
그러나 서기관들은 고대 문서를 관리하고 전승하고 해석하는 것 이상을 실행했다. 그들은 또한 제2성전 시대 유대교의 새로운 문헌들을 풍부하게 생산했다. 우리가 전장에서 본 것처럼 이 새로운 문헌들은 오늘날유대인과 기독교인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유대교성경과 개신교 성경의 일부가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그 문헌들은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재발견될 때까지 서구 2천년 동안 거의 잊혀졌다. 오늘날 이 문헌들은 점점 더알려지고 연구되고 있으며 우리가 고대 유대교와 예수 그리고 초기 예수운동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 P50
제2성전 시대의 고대 서기관들은 새로운 책을 쓸 때 자신의 이름을 쓰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이었다. 그들은 누구이고 왜 썼는지를 말하는 것보다 가명으로 쓰는 것을 선호했다. 초기 유대교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가명은 구약의 인물들이었다. 성경시대 이후 오랜 기간 살았던 서기관들은 종종 성경인물을 선택하여 새로 쓴 책을 마치 성경 시대에 쓰여진 것처럼 그 인물의 이름으로 돌렸다.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표절과는 반대이다. 여기서는 문학적 권위자의 아이디어를 훔쳐서 문서의 출처를 제대로 밝히지 않고 자신의 이름으로 쓴다기보다는, 그렇지 않으면 알려지지 않았을 저자가 책을 써서 그것을 과거의 권위있는 인물의입에 두려는 것이다. 학문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문학적 기법을 ‘거짓제목을 가진‘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pseudepigraphos에서 온 위경Pseudepigraphy 이라고 부른다. 위경은 과거 성경의 저자의 것으로 거짓으로 돌려진 책을 말한다. - P61
어 peroiagmessias로 발음한다에서 왔다. 이것은 ‘messiah‘가 왜 ‘s를 두번 쓰는지 말해준다. 원래 그리스어로 쓰여진 신약에서 peociaç라는 단어는우리가 이미 논의한 두 곳에서 발견된다. 요한복음 1장 41절에서 안드레는 시몬 베드로에게 "우리가 메시아를 만났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요한복음 4장 25절에서 사마리아 여자는 "메시아가 곧 오실 것을 내가 안다" 라고 말했다. 그리스어 Heroias는 원래 그리스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서온 차용어이다. 그것은 히브리어 mashiakh 히브리어와 매우 유사한 아랍어에서 이단어는 meshikha이다의 그리스어 버전이다. 히브리어 명사 mashiakh는 동사mashakh 기름을 바르다에서 파생되었으며 따라서 이것은 ‘기름 부음 받은자‘라는 뜻이다. - P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