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에서 문과로 살아남기 - 판교 IT 기획자 편 도시의 직장인 3
박인배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과생의 IT회사 이야기 <판교에서 문과로 살아남기>

박인배 / 플랜비디자인 / 20203.08 / 208page

이과생의 전유물인 IT회사 그 곳에서 과연 문과생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이 책은 광고홍보학을 전공한 문과생 저자가 이과계열인 IT회사의 서비스 기회자로 일하면서 얻게된 회사생활의 노하우를 담은 책입니다. 저자와 마찬가지로 저도 광고홍보를 전공하였기 때문에 왠지모를 동질감(?)을 느끼며 읽게되었습니다.

차례
Chapter1. '삶'이라는 수납상자
Chapter2. 할 수 있는 일을 합니다
Chapter3. 책임 있는 자유
Chapter4. 재가 되면 불이 붙지 않습니다

총 4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과생이 가질 수 있는 역량을 토대로 면접준비 내용을 시작.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업무 가이드, 문이과 상관없이 개인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자세들의 대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저는 문과 전공에 현재도 이과계열과 전혀 상관없는 직업이기 때문에 책의 모든 내용을 이해할 수는 없었어요. 하지만 모르는 업무 속에서 공통적으로 가져야 할 팔로워의 자세가 있기에 그 부분을 중점적으로 생각하며 읽어나갔습니다.

p.62 매번 무 자르듯 업무의 경계선을 딱딱 잘라버리다면 앞으로의 성장에 큰 장애물이 될 것입니다.?

물론 내가 맡은 업무를 잘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내 일'과 '네 일'을 완벽히 구분짓는 사람들을 보면 눈살이 찌푸려지기도 해요. 나도 어쩔 수 없는 꼰대인가보다 생각들때도 있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아닌 것 같아요??

p.146 업무 공간과 거주 공간의 물리적 구분이 없다는 것은 자신의 의지로 이를 끊어내야 하는 미션이 주어진 상황입니다.

코로나 펜데믹 시대로 인해 뜻하지 않게 많은 회사에서 재택근무를 실시하게 되었어요. 처음에는 집에서 일한다늗 메리트가 굉장히 크게 느껴졌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집'이라는 공간이 회사인듯 회사아닌 회사같은 곳이되어 불편함을 호소하는 분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저 역시도 재택근무러로 집이 회사인 생활을 2년 넘게 지속중입니다. 그렇기에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극 공감과 동시에 앞으로 효율적인 업무를 위해 어떻게 공간의 구분을 짓는것이 좋을까에 대해 고민하기도 했습니다.

책을 읽으며 인덱스 스티커를 붙이고 메모를 했었는데요, 리뷰를 작성하려고 표시된 부분을 보다 보니 '공감' '내 이야기'와 같은 메모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저자는 문과 전공자들이 이과계열 회사에서 좀 더 수월하게 업무처리릍 할 수 있게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을 담았겠지만 문과생이 아니라도, 이과계열 회사를 다니지 않더라도 꽤 괜찮은 내용의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