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유는 ‘의사이고, 자신 앞에 환자가 있고 그래서 그들을 치료하는것 뿐입니다.‘ 이것이 리유가 무덤덤한 ‘투쟁‘을 이어나가는 이유입니다. 이와 같은 리유의 대답은 무엇인가 거창하고 숭고한 대답을 기대하는 사람들의 입장을 궁색하게 만들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리유에게 이것은 "이미 창조되어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거부하며 투쟁함으로써 진리의 길을 걸어가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페스트라는 재앙이 왔다고 해서 두려움에 떨면서 죽을 날만을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인간은 어떻게든 거부하며 투쟁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투쟁"은 이미 창조된 세계를 거부하는 일입니다. "끝없는 패배"를 의미하는 페스트 앞에서 투쟁하는 인간, 리유는 패배에 아랑곳하지 않고 싸움의 격전지로 들어가 전투를 치릅니다. 그것은 ‘대단한 일‘이 아니고, 리유가 할 수 있는 일입니다. 타루 또한 기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보건대의 일원이 되어 리유를 도와 환자를 돌보는 등 자신이 맡은 책무에 최선을 다합니다. 이렇게 카뮈는 《페스트》에서 ‘투쟁‘의 의미를 숙고합니다. 여기서 그가 보여주는 ‘투쟁‘은 그 결과를 예상하지 않는 담대한 싸움이며 포기하지 않는 싸움입니다. 차분하지만 힘이 있는 ‘투쟁‘입니다. 카뮈는 그것을 ‘성실성‘이라고 표현합니다.

"페스트와 싸우는 유일한 방법은 성실성입니다. 성실성이란 자기가 맡은 직분을 완수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139~140쪽)

카뮈는 "사람은 제각기 자신 속에 페스트를 지니고 있다."라고 말합니다. 페스트는 병균을 지닌 누군가의 입김으로부터 내가 전염될 수 있고 나는 그 병균을 누군가에게 간단한 입김을 불어 옮길 수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피해자이자 동시에 가해자입니다. 그러므로 페스트는 우리 모두의 문제입니다.(1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