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 파이트 1
니혼바시 요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취향만 맞는다면 정말 믿고 보는 니혼바시 요코의 신작 스포츠 만화(라고 되어는 있다). 전작이었던 <극동학원천국>을 너무 재밌게 잘 읽어서, 이번 작품은 고민 한 번 없이 그냥 사버렸다. 이 작가 특유의 맛이 있는데…그걸 어떻게 설명할 수가 없네.


<소녀 파이트>는 여자 배구 만화다. 배구 만화 하면 스포츠 만화. 보통은 <하이큐>나 조금 더 오래된 작품이라면 <리베로 혁명> 부근을 떠올리지 않을까. 흔히들 말하는 열혈! 땀! 우정! 승리! 스포츠 정신! 으로 뒤범벅이 된 뜨거운 만화 말이다. 한편으로는 여자들이 모여서 뭔가를 한다…이 지점에서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아니라면 적어도 그에 준하는)> 같은 것을 이 만화에 기대하시면 정말 곤란하다 이겁니다. 왜냐면 니혼바시 요코니까.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니혼바시 요코 이야기를 잠깐 하자면…상업성이라곤 쥐뿔도 없을 것 같이 책을 쓰는 비상한 재주가 있다…. 책을 읽고 나면 나는 정말 재밌었지만 과연 이 작가가 다음에도 한국에 책을 팔아먹을 수 있을까? 혹은 다음 권이 무사하게 나오긴 할까? 하는 걱정을 하게 만든다 이 말이다…. 잘 팔릴 것 같지도 않고, 대중적인 소재도 아니고(애당초 여자 스포츠 만화라는 것 자체가 불모지에 가깝다), 그림이 먹힐 만한 것도 아니라 더 그렇다. 무겁고 질척하기 짝이 없는 주제를 너무 시원하게 툭 던져버리는 책의 흐름까지…팔리는 게 용하다. 물론 나는 사 준다. 니혼바시 요코니까(나 같은 사람이 제법 있으니까 이 시리즈도 계약이 되었겠구나, 한다).


앞에서 잠깐 이야기했는데, 이 작가의 가장 큰 재주(라고 내가 생각하는 것)는 바로 말도 안 되게 무겁고 질척한 소재를 시원하게 툭 풀어내는 바로 그 지점이다. 전작에서는 특히 폭력(그것도 보통 무겁고 괴로운 폭력이 아니다-성폭행, 알코올 중독, 가난, 학력 등등, 나열하자니 도저히 더 이상 못 쓸 정도네)이 서늘할 정도로 다뤄졌다면, 이번 작품에서 특히 다뤄지는 건 소외가 아닐까 싶다.


그리고 어떤 식으로건 주역들이 안고 있는 소외가 배구를 통해 극복…까진 아니더라도 상쇄 비슷하게 되어가는 것이 이 만화의 주요한 내용이다. 당연하지만 배구하는 이야기보다는 어떤 식으로 배구에 다가서게 되는지, 그리고 배구를 계속하게 되는지가 더 중요하게 다뤄진다. 배구 시합에 이기고 지고는 이 만화에서는 뒤쪽으로 밀려나 있다. <소녀 파이트>에 스포츠 만화를 기대하고 봤다가 실망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소녀 파이트>에는 승리의 기쁨 같은 것이 별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겨도 문제고 져도 문제다. 전국 최고를 향해 달린다! 목표는 갑자원이다! 같은 집중력도 없는가 하면, 전국 최고가 된다! 그러면 네게 고백한다! 같은 아다치 미츠루 식 시원함도 없다. 백만 번 맞아도 재가 될 때까지 다시 싸운다! 는 선택지도 없다. 그러면 뭐가 있냐고? (질리게 말한 것 같지만)니혼바시 요코가…그리고 주역들 모두가 앞으로의 인생 어디에서도 배구를 계속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소녀 파이트>에는 있다.


특이한 만화가 좋다면 추천. 스포츠 만화를 보고 싶다면 비추천하는 만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윈 스피카 1 트윈 스피카
야기누마 고 지음, 김동욱 옮김 / 세미콜론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윈 스피카를 분류할 때에는 항상 고민이 앞선다. SF라고 해도, 판타지라고 해도, 소년 만화라고 해도 충분히 들어맞기 때문에. 조금 더 나가서는 순정 만화라는 표현을 써도 괜찮을지 모른다. 각각의 갈래는 트윈 스피카 안의 내용과 충분히 걸맞은 분류가 되어준다. (내 개인적으로 생각하는)작품의 주제가 ‘우주로 가는 것’에 있기 때문에 그렇다.


(이 작품의 내용을 모르고 책을 살 사람은 없지 않을까 생각하지만)트윈 스피카의 가장 굵직한 주제는 ‘우주로 가는 것’에 있다. 주인공은 우주비행사가 예비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이며, 주연들 역시(몇을 제하고는)우주에 가기를 꿈꾸는 어린 학생들이다. 어릴 적부터 끊임없이 우주비행사가 되기를 꿈꿔온 어린 여성이 어떻게 ‘우주로 가게 되는지’를 다루는 작품-트윈 스피카는 그렇게 시작한다. 하지만 이 만화의 지향점은 다른 우주비행사 만화(요즘 가장 유명한 만화라면 우주형제, 옛날 만화라면 유명하진 않지만 패스포트 블루쯤일까)와는 조금 다른 곳에 있다. 트윈 스피카의 우주는 개인의 꿈 이상의 것이다.


트윈 스피카에서 작품의 배경은 가까운 미래(혹은 현재)이다. 인류는 아직 우주에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가 없고, 도달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가졌다고 믿지만, 작품 속 현실은 그것과는 너무도 멀다. 당장 작품의 시작이 그렇다. 일본의 희망찬 우주 진입을 상징하던 로켓은 사고를 일으키고, 무수히 많은 사람이 사고로 인해 목숨을 잃는다. 제대로 된 공식 발표는 없다. 다만 사고만이 있을 뿐이다.


사고 지구 근처에서는 로켓이라는 단어가 금기어가 된다. 누구나 이름 없는 피해자이고, 로켓은 그들에게 악몽과 크게 다르지 않다. 작가는 로켓으로 인한 수많은 피해자들을 조명한다. 로켓 사고로 어머니를, 연인을, 아버지를, 자신의 비장애인으로서의 삶을 잃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등장하고 물음을 던진다.


“정말 우주에 가는 일에 그만한 가치가 있는가?”


사고 피해자들은 로켓 발사에 끊임없이 반대한다. 제대로 된 보상과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그들은 생각한다(그리고 그것은 작품 안에서 사실로 드러난다). 피해자에게 우주란 단순히 돈이 많이 드는 잉여 기술이 아니다. 그들에게 그것은 재해나 다를 바 없으며 당연하지만 그 재해는 사회 전체가 책임져야 할 문제이다.


이와 같은 사회 속에서 우주에 가는 일은 어느 누구에게나 상당한 각오가 필요한 일이다. 사고 피해자는 물론이고 사회 전체는 주인공에게, 그리고 그 친구들에게 묻는다. 그런 쓸데없는 일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의 돈이 들고, 사고의 위험도 있으며,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산적해 있는 우주라는 공간이 그렇게나 가치가 있는 공간인가? 이렇듯 주인공에게는 우주에 가고 싶다는 강한 마음이 있지만, 그것만으로 모든 일이 해결되지는 않는 만화가 트윈 스피카이다.


표지와는 딴판으로 제법 묵직한 만화인 셈이다. 속았다고 생각한 사람이 많았는지 이 만화는 이미 한 번 절판의 아픔을 겪었다…. 한국에 다시 정식 발매가 결정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에는 거짓말이 아닌가를 먼저 생각했을 정도다. 거기에 더해 작품의 처음부터 마지막 권까지가 모두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적당히 밝히는 리뷰를 하기가 쉽지 않다. 다만 주인공의 ‘우주로 가는’ 여정은 단순히 우주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다(자세한 건 말할 수가 없지만). 책 가격이 상당히 비싼 축이더라도 분명히 사서 후회는 하지 않는다. 그런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베라는 남자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최민우 옮김 / 다산책방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오베라는 남자보다, 그의 아내였던 소냐라는 사람의 인생이 더 크게 와닿았기 때문에 신선한 책이었다. 책의 주인공은 소냐가 아니다. 오베의, 타인의 시선을 거칠 것 없는 우직함이 이 책의 주된 구성이다. 그럼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무를 담벼락에 끌고 들어가지 말라 1부 블랙 라벨 클럽 1
윤진아 지음 / 디앤씨미디어(주)(D&C미디어)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지껏 읽었던 어떤 로맨스보다 압도적으로 우위에 두고 싶은 책. 굉장하단 말 말고는 설명할 수가 없고 설명하고 싶지도 않다. 나만 읽고 싶은 마음과 다른 사람에게도 이렇게 굉장한 책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 주고 싶은 기묘한 심정의 공존을 이끌어내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임리스 타임 7 - Nabi Novel 타임리스 타임 7
박미정 지음, 김유빈 그림 / 메르헨미디어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류 책 중에서 정말 최고로 꼽는 책. 개인적으로는 라이트노벨이라는 분류보다는 판타지에 좀 더 가깝지 않나 생각이 들기도 하고. 어떤 장르로 분류해도 무리 없이 들어맞는 재미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