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봅니다 - 이정모 선생님이 과학에서 길어 올린 58가지 세상과 인간 이야기
이정모 지음 / 오도스(odos)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려운 과학 이야기를 쉽게 설명해주는 많은 분들이 계시지만 그 중에서도 이정모 관장님은 옆집 아저씨가 들려주는 듯한 편안한 느낌의 문체가 주는 따뜻함이 있어 읽기가 편한 것 같습니다.

이번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봅니다> 에서는 단순한 과학적 지식이 아닌 과학적 문해력, 다시 말해 과학을 이해하거나 활용하는 능력이 아닌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인 사고방식 그리고 과학적인 세상을 대하는 태도를 중요시하며 이야기 들려주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총 4개의 장으로 묶여있는 총 58가지의 이야기들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것들이어서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각각의 이야기들은 짧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틈틈이 조금씩 책을 읽을 수 밖에 없는 환경에 놓인 이들에게도 충분히 매력적인 구성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과학의 모든 분야가 흥미롭고 언제나 새롭지만 저는 특히 동물과 우주에 관한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1장의 내용들부터 제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습니다.

발뼈는 왜 52개인지 이야기하는 부분을 들여다보면, 기본적인 숫자로 설명 가능한 뼈와 관련된 이야기를 너머 우리 사람이 지닌 뼈의 특징들에 대해 알려주며 이렇게 진화한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게 합니다.

그리고 발에 우리 뺘의 1/4에 달하는 52개의 뼈가 있는 이유에 대해 고민해보게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이렇게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가 삶에 어떻게 이 내용을 반영해야할지 의견을 제시해주십니다.

이렇게 가볍고 기본적인 과학적 상식을 바탕으로 우리 삶에 대한 태도와 자세까지 이끌어내는 빠른 전개는 관장님의 통찰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제가 관장님만큼 좋아하는 천문학자 이명현 박사님이 이야기 중간에 등장하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는 1년에 16킬로미터나 자라는 우리의 머리카락에 대한 것입니다.

친구인 이명현 박사님은 물론이고 자신의 가족 이야기까지 하시면서 탈모 치료 인구가 20만명일 뿐 아니라, 잠재 인구는 무려 1천만명에 달할 것이라 추산 합니다.

관장님의 말씀처럼 대머리는 그 누구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는데 우리 사회에서는 탈모인들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너무 깊이 자리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탈모인들이 받는 스트레스가 상상을 초월한다는 점은 우리 모두가 한번 더 생각해봐야 할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방송과 책을 통해 알려졌고 이제는 교수님이 되신 이지선님에 대한 부분에서는 새로운 내용도 알게 해주었습니다.

그녀가 마라토너로 국제 마라톤 대회에서 두 차례나 풀코스를 완주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달리면서 기부까지 하셨다는 것에 더 놀라웠습니다.

그리고 이지선님이나 연예인인 션님이 이제는 그만 달려도 될 수 있게끔 정부가 나서 아픈 아이들을 위한 재활병원 관련 예산을 마련해주기를 관장님은 희망하셨습니다. 


이런 식으로 이 책은 보통 우리가 중고교 시절 배웠던 내용을 다시금 상기시키게 해주고, 크게 어렵지 않은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우리 삶에 대한 성찰을 한 스푼 더할 수 있도록 이끌어줍니다.

이게 기본적인 관장님의 과학을 대하는 태도임을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과학에 대해, 그리고 관장님의 삶에 대한 태도를 엿보며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본 리뷰는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 이벤트를 통해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 받은 후 솔직하게 작성한 것입니다.



#과학의눈으로세상을봅니다 #이정모 #오도스 #odos #과학 # 과학상식 #문화충전 #서평이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