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형 지음

풀잎 2013. 12.10

 

배짱이라는 말을 한참동안 잊고 살았던 것 같다.

배짱의 사전적인 의미는, 마음속으로 다져먹은 생각이나 태도, 또는 조금도 굽히지 않고 버티어 나가는 태도나 성품이다.

살아감에 있어서 배짱이 있어야 한다는 말을 종종 듣곤 한다.

이시형 박사의 『배짱으로 삽시다』가 출간된 지 30주년이 되어 개정판이 나와,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어떤 책보다도 술술 읽히면서도 생각할 것이 많았던 책이었다.

아마도 현대를 사는 사람들이라면 모두 공감할 만한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 썼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마도 30년이 지난 오늘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온 스테디셀러지 않을까?

현대 도시사회를 사는 사람들에게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것들을 9가지로 나누어 구성해놓았다. 그 9가지는 다시 말해 한국인들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겠다.

중간 중간 ‘배짱 있는 삶을 위한 TIP’이 포함되어 있어서 실생활에 적용해볼 수 있는 것이 실용적이었다. 독자들에게 용기를 심어주고 직접 행동으로 옮기기를 바라는 저자의 마음이 드러나는 부분이었다.

30년 전에도 이 책을 읽고 용기를 얻어 배짱을 가지고 살아가게 된 사람이 많았다고 하니, 30년 동안에 사람들의 고민이나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 그리 많이 바뀌지는 않은 모양이다.

힐링 서적의 원조라고 하는 이 책은 마냥 위로만 하는 것이 아닌, 왜 저런 양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그 이유를 설명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어떻게 하면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 해결책까지 제시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독자들에게 많은 깨달음과 울림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도 읽으면서 아. 이러해서 내가 이랬었구나 하는 깨달음을 얻었던 부분이 많았고 가슴에 와 닿으면서 새기고 싶은 구절도 많았다.


그중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구절은

-아무 일도 안하면 아무 것도 얻지 못 한다 -

-한가지만을 위해 최선을 다하라. 인생의 즐거움이란 문제가 없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걸 푸는 데 있다 -


또한 소심증이란 사람 앞에 기가 약해지는 데서 오는 증상으로 적당한 흥분을 불안으로 잘못 인지하여 발생되는 것이다. 이 흥분을 준비완료의 신호로 알고 그것을 활력소로 생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책 속에서 저자는 다른 나라에 비해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신경을 많이 쓰는 한국인들에게 남의 시선에 신경 쓰고 눈치 보기보다는 자신의 소신대로 행동하기를, 그리고 열등감으로부터 생겨나는 감정들을 자부심과 긍지로 이겨내기를, 미안해하기보다는 솔직하게 ‘안돼!’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지기를 바라고 있다.

내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시간이었고, 어떻게 하면 배짱을 가지고 더 행복하게 살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통해서 조금이나마 용기를 얻고 더 행복한 삶을 살기를 바란다. 개인의 삶이 행복하다면 행복한 개인이 모여있는 사회는 저절로 행복한 사회가 되지 않을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