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진기행 - 김승옥 문학선 나남문학선 12
김승옥 지음 / 나남출판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개같은 소설이다. 알 수 없는 소설이란 얘기다. 도대체 이 이야기에서 작가가 말하고자하는 바는 무엇인가. 나의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글읽기 습관의 잘못인가? 나는 이 글을 읽으며 무진기행의 생산성은 무엇일까 생각해보았다. 어깨가 축 늘어질 듯한 허무감? 갑자기 무척 궁금해진다. 소설의 생산성이란 무엇인지.

윤희중이 안개의 무진을 여행했듯이, 나는 의미를 알 수 없는 행간 속에서 헤맸다. 정말 처음부터 끝까지.

주인공에게 감정이입이 되는 부분은 단 한가지, 어둡던, 모멸감과 오욕에 가득 찼던, 잊고 싶은 어린 시절이다. 아니, 잊고 싶다기보다는 ‘즐겁지만은 않았던’이 더 올바른 표현일 것이다. 주인공도 어린 시절을 다만 잊고만 싶었다면, 무진 근처에도 가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가끔 무진엘 갔다. 이유는? 글세...

그는 무진에 가서 부끄럽지만 그럴듯한 여행담 하나를 추가한다. ‘또 사랑에 빠진 일...’(그것이 정말 사랑이었는지는 정말 모른다) 그는 나중에 이렇게 생각하겠지. “그래, 하인숙. 인숙이. 그 여자를 안았었지” 그리고는 무진의 추억을 가끔 되새길 것이다.

그는 혼자이고 싶어하면서, 또 혼자이길 두려워하는 것 같다. 도달할 길 없는 별과 자신과의 거리를 재며 분해 못견디던, 별이 아름답게 빛나던 밤의 감상과 같이, 그는 자신이 혼자라는 것을 눈물겹도록 확연히 느끼면서도, 그것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러나 그는 별을 보는 것을 멈추지 않는다. 아마도 그는 별 보기를 좋아할 것이다. 또 그러므로 그는 언제나 타인과 자신을 구별할 것이다. 그것은 그의 성격이다. 그렇지만 구별하는 와중에 결코 예의 없지 않게, 지나치지 않게 타인과의 관계를 나눈다. 그것이 그가 살아가는 방식이다. 적당히 어울리면서도 결코 고독의 무의식의 끈을 놓지 않는... 타협하는 인간형. 그러나 언제나 뭔가 모자라고, 불안한...

그러나 독자의 주관을 에우르는 것은 곧 작가의 주관이 아닐까. 결국 주관성은 객관성으로 이어지고... 곧 주관성과 객관성이 만나는 지점에서 나는 소설의 맛을 느끼는 것이리라. 그리고 그 맛이 바로 소설의 생산성은 아닐는지 조심스럽게 결론을 내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떠돌이 개 - 가브리엘 뱅상의 그림 이야기
가브리엘 벵상 지음 / 열린책들 / 200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글씨 하나도 없다. 그림 뿐이다. 그런데도 쉽게 읽히지 않는다.

간결한 터치, 빠른 데생만으로 많은 이야기를 풀어주는 작가의 녹록치 않은 감성이 마음을 적시는 책. 개에게 저토록 많은 표정이 숨어있다니.

떠돌이 개라고 얕보지 마라. 너는 한번이라도 배신하는 사람을 너그러히 용서한 적 있느냐.(누구의 시 패러디인줄 아시죠?)

개만도 못한 인간의 무덤 앞에 뒷다리를 드는 떠돌이 개. 뭣한 세상에 나도 오줌이나 갈기고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겅호!
켄 블랜차드,셀든 보울즈 지음, 조천제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경영, 비즈니스 관련 서적을 5권 이상 보신 분이라면 굳이 읽을 필요 없습니다. 그만큼 초보수준의, 그것도 왕초보 수준의 책이니까요. 저는 피치못해 구입했는데, 정말 돈 아까와 죽는 줄 알았습니다. 너무 개요적이고, 피상적입니다. 다람쥐, 비버, 기러기들의 생존 본능을 자신의 규칙에 끼워맞추었다는 느낌밖에 없군요. 체제와 조직 내에서 인간이 휴머니즘을 놓치지 않기 위해 서로 협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그것이 개인이 아닌 체제와 조직의 이름으로 당위적이라 말한다면 그것은 너무 슬픈 일입니다.

도우며 살자. 기왕 하는 일 즐겁게 하자는 건 좋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시장이 유연화 되고 직장인들이 하루아침에 실업자로 전락하는 시장구조에서 그 말은 너무 이상적인 요구입니다. 우린 지금도 너무 비인간적으로 기업과 체제, 구조의 노예가 되어있는 건 아닌가요? 신바람 나는 직장은 우리가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구호는 힘차고(겅호!) 아름답지만, 그럴듯한 구호 뒤에는 12시간의 힘겨운 노동에 지친 사람들, 아침에 겨우 떨어뜨리고 나온 우는 내 아이, 사장이 도망가버려 빚만 남은 벤처 직원들, 수많은 업무 스트레스로 가정 생활이란 게 아예 없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전 이 책 버릴 겁니다. 종이가 아깝다는 생각이 드네요.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티핑 포인트 - 생각하는 글들 12
말콤 글래드웰 지음, 임옥희 옮김 / 이끌리오 / 200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에이~ ㅅ 귀찮아서 싫어' '이것같고 뭐가 되겠어?'라고 말하면서 우리는 변화를 일으키기를 꺼린다.일상의 작은 변화는 자기 안의 습관과 고정관념을 깨뜨린 사람이 이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노력으로 어떤 꿈을 이룰 수 있는지를 말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간 머리 앤
루시 M. 몽고메리 지음, 클레어 지퍼트.조디 리 그림, 김경미 옮김 / 시공주니어 / 2002년 2월
평점 :
절판


타는 듯한 빨강색 머리가 무지 신경질 나는 내 친구. 주체하지 못할만큼 감상적인 내 친구. 가끔씩 황당하게 웃음을 주는 친구. 어렸을 적 누구나 유치했다. 하지만 그런만큼 더 예쁜 마음이었다.

이제 이십대를 곧 넘길만큼 나이가 든 지금. 그 어떤 것보다 더 갖고 싶은 게 있다면...순수다. 우리도 빨간머리앤의 나이때 맑고 감탄스런 눈으로 세상을 보았다. 그만큼 아름다운 세상을 보았다.

지금 순수를 잃어버린 어른이 되어서 내 눈에 비친 세상은 전만큼 아름답지도 않고, 신기하지도 않다. 다시 한번 순수의 시대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다. 이 책을 읽어야만 하는 이유는 충분할 것이다. 빨간머리앤을 읽으면 아직 세상은 살 맛 나는 것이라고 자위할 수 있으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