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희
황민구.이도연 지음 / 부크럼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 영상 분석가인 황민구님의 첫 장편 소설이라 해서 읽게 된 책이다. 이 책은 대한민국 최고의 법 영상 분석가인 황민구님과 에세이부터 드라마 극본까지 다방면으로 활동 중인 이도연 작가님의 협업으로 출간된 장편소설이다. 주인공인 법 영상분석가 '대아'가 동아리 후배인 '선희'의 죽음 뒤에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프레임 밖에 존재하는 용의자를 찾아 나서는 여정을 담아낸 작품이다. 법 영상 분석가인 대아의 시선으로 오직 진실을 파헤치는 것이 정답이라 믿음 아래 프레임 밖 진실을 찾아 나서는 흥미진진한 이야기와 속도감 넘치는 전개와 반전은 이야기 속에 흠뻑 빠져들게 만든다.


이 책의 이야기는 법 영상 분석가로서 주인공 대아가 법원에 출두하여 증인으로서 맹세를 하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유명해지려고 법 영상 분석을 직업으로 삼은 것은 아니었지만 수년 동안 영상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논문에 몰두하며 지낸 결과 대아는 어느 새 법 영상 분석의 전문가가 되어 유명해졌다. 하여 오늘처럼 재판에 감정 증인으로 자주 출두하곤 했는데, 대아를 따라 법 영상 분석 전문가라고 칭하지만 엉터리인 상대측 증인을 보고나니 일 자체에 환멸을 느끼게 된다. 게다가 법원으로 오기 3시간 전 대아는 대학 병원에서 망막색소변증으로 곧 시력을 잃게 될 꺼라는 진단까지 받게 된다.모든 걸 그만하고 싶다는 생각에 사로잡힌 대아 앞에 갑작스레 나타난 동아리 후배의 선희의 동생 선영. 선영을 통해 대아는 선희가 3년 전 제주도에서 죽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제 자리에서 잘 살고 있을 꺼라고 생각했던 선희가 죽었을 거라니. 대아는 충격에 휩싸인다. 그리고 선영을 통해 듣게 되는 선희가 우울증이었다는 사실과 남편과 제주도에 한달 살기를 하러 갔다가 죽었음을 알게 된다. 그런데 선영은 대아에게 선희의 인스타그램 계정과 선희의 스마트폰 클라우드에서 다운 받은 원본 사진을 넣은 USB를 주며 선희의 살아 생전 이야기를 써달라는 부탁을 한다. 참 잔인한 부탁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대아는 USB 속에 담긴 사진 한장을 샘플로 보던 중 선희가 왠지 무슨 이야기를 남겼을꺼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모든 일을 중지시키고 대아는 충동적인듯 선희의 이야기를 쫓아 제주도로 향한다.


제주도에 간 대아는 그녀의 흔적이 담긴 USB 속 사진들을 통해 제주도에서 선희의 시간이 그리 좋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사진 속 선희를 찾기 위해 AI 안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울고 있는 선희의 모습과 블랙박스 속 영상. 그리고 병원 진료까지 그녀의 흔적을 따라가다가 대아는 선희가 남편인 변호사 동연에서 가정 폭력에 시달리고 있었음을 알게 된다. 과연 선희를 죽음에 이르게 한 진실은 무엇일까? 프레임 밖에 존재하는 진실을 찾아 나서는 대아의 이야기를 통해 선희가 남긴 이야기를 쫓아가다 보면 진짜 범인은 누구인지 너무나 궁금해진다. 이들의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책을 통해 확인해보길 추천해본다.


냉철하면서도 이성적인 영상 분석가 대아. 제주도에서 바람처럼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 선희, 그리고 누구보다 아내를 사랑하는 변호사 동연. 이들의 얽히고설킨 제주도에서의 발자취를 따라가던 대아는 3년전 기록과 증언, 그리고 선희가 남긴 사진 속 진실을 바탕으로 모두에게 잊혀져 버린 사건의 진실을 마주하게 된다. 이 여정의 이야기를 따라 가다보면 우리 눈이 얼마나 진실을 잘 보지 못하고 믿고 싶은대로만 보고 보이지 않는 곳에 숨겨진 진실을 보지 못하는 지를 깨닫게 된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극악무도한 범죄자에게 벌을 내리는 것을 넘어서 법은 단 한 사람의 억울한 이도 없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기 진실을 밝히기 위해 끝까지 노력하겠다는 대아의 결심이 더 깊은 울림을 남긴다. 아무리 희망이 멀어보이고 무력함이 느껴질지라도 우리는 진실을 말하고자 하는 의지를 잃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 모두는 진실에는 승자나 패자가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을 받아 들이고 묵묵히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진실을 알고 싶어하고, 그것을 세상에 알리며 누구 한 명이라도 억울한 죄를 뒤짚어 쓰지 않기를 바라는 두 저자의 간절한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때로는 세상과 마주하는 일이 아득한 두려움으로 다가올지라도 이 책을 통해 세상이 생각 나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가슴에 담아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