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웃집 빙허각 ㅣ 창비아동문고 340
채은하 지음, 박재인 그림 / 창비 / 2024년 11월
평점 :
조선 시대의 유일한 여성 실학자인 빙허각에 대한 궁금증으로 읽게 된 책이다. 이 책은 가난한 양반의 딸인 주인공 덕주가 훗날 조선에서 유일한 여성 실학자로 불리는 '빙허각'과 함께 최초의 한글 실용 백과사전인 <규합총서>를 만들어가는 과정의 이야기를 담은 역사 동화다. 조선시대에 여인으로 태어났지만 글을 쓰고 공부하는 빙허각을 통해 주인공인 덕주 역시 남몰래 간직했던 자신의 꿈을 키워나가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감동적이다.
이 책의 이야기는 왠 나그네가 손수 만든 국화주를 무덤 앞에 올리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어디선가 나타난 한 선비. 선비는 바로 빙허각의 시동생이며, 나그네는 바로 빙허각의 제자이자 주인공 덕주다. 돌아가신 빙허각을 그리워하는 덕주에게 선비가 들려주는 둘의 첫 만남에 대한 이야기. 주인공 덕주는 매일 세벽, 일렁이는 마음을 안고 언덕에 올라 강 저편의 세상을 궁금해했다. 그리고 덕주가 우연히 마주하게 된 이웃집 할머니가 바로 빙허각이었다. 빙허각은 첫 만남에 덕주의 눈에 세상에 대한 호기심과 꿈을 향한 불이 가득했음을 알아챘고, 자기답지 않았지만 덕주를 자신의 제자로 맞이했다. 과연 빙허각과 덕주에겐 무슨 일이 있었기에 덕주는 이토록 빙허각을 그리워하며 빙허각 역시 덕주를 이야기 할 때면 즐거워했던 것일까?
주인공 덕주는 넓은 세상이 궁금하여 매일 새벽이면 언덕에 올라 마을 어귀를 내다보곤 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이웃집 할머니인 빙허각을 마주하게 되었고, 아버지의 권유로 살림을 배우러 간 곳에서 다시 빙허각과 마주하게 된다. 그 시대만 해도 여성은 기꺼이 자신을 낮추고 희생해야만 했었다. 그랬기에 돈벌이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아버지를 대신하여 생계를 책임지는 덕주의 어머니를 아버지는 못 마땅하게 여겼고, 딸인 덕주가 어머니로부터 제대로 배울 수 없다고 생각한 아버지는 서울서 내려왔다는 빙허각에게 자신의 딸을 가르쳐 달라고 부탁을 했던 것이다. 이는 어찌보면 사대부의 도리만을 중요시하던 그 시대의 평범한 아버지처럼 보였던 덕주의 아버지의 딸에 대한 지극한 사랑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자 그 시대의 여성에게 주어진 수많은 책임과 한계를 짐작하게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여하튼 다시 이야기로 돌아와 누군가를 가르치는 걸 망설였던 빙허각은 덕주 아버지의 청을 거절하지만 덕주와 마주하게 되는 순간 마음을 바꿔 덕주 아버지에게 덕주가 자신을 도와주면 어떠냐고 청하게 된다. 그렇게 빙허각의 집에 정기적으로 가게 된 덕주. 그렇게 덕주와 빙허각의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혼자서 처음 빙허각의 집에 가게 된 덕주는 여인이 공부를 하고 글을 쓰는 모습을 보고서 놀란다. 하지만 이내 빙허각에 적어놓은 글귀에 마음을 빼기게 된다. 그런 덕주에게 빙허각은 "여인이 먹고사는 일에 관한 책을 쓴다면 어떨 것 같으냐?" 고 묻는다. 하지만 온종일 일하느라 한문을 익힐 시간이 없었던 덕주는 "백성의 삶을 이롭게 하는 책이람녀서 왜 어려운 글자로 쓰나요? 이렇게 써 놓으면 정작 백성들은 읽을 수가 없잖아요."라고 반문한다. 그렇게 책을 언문으로 쓸 것인지, 아니면 한문으로 쓸 것인지에 대해 치열하게 부딪히게 되는 두 여인의 눈에는 공통점이 있었으니 그건 바로 어떤 어려움일 있어도 자기의 뜻을 꿋꿋이 펼쳐 나가려는 뜨거운 불씨가 있다는 것이다. 서로 너무나 닮은 두 여인은 그렇게 합심하여 <규합총서>를 만들어가는데.. 그 과정 속의 이야기들이 참 감동적이면서 좋다. 이들의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책을 통해 꼭 확인해보길 추천해본다.
조선시대에 여성 실학자가 있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사실 그 시대에 여성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기에 여성 실학자만이 아니라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엿보기가 힘들다. 이 책은 현재 유일한 여성 실학자로 알려진 빙허각과 주인공 덕주가 함께 <규합총서>를 만들어가는 과정의 이야기를 이어가면서 조선 후기 여성들의 생활상을 아주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온갖 물건이 가득한 빙허각의 안채를 묘사하는 부분과 덕주의 어머니를 비롯한 마을의 여러 아줌마들의 다채로운 삶의 이야기들은 이 책의 읽는 재미를 더할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의 모습을 엿볼 수 있어 참 좋다. 그리고 빙허각을 통해 덕주는 자신만의 책을 쓰겠다는 꿈을 키우고 다져나가는 이야기는 이 책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누구라도 꿈꿀 수 있으며 그 꿈을 키워나갈 수 있다는 용기를 북돋아 준다. 그렇기에 단순히 역사를 알아가는 것 뿐만 아니라 꿈을 향해 나아가는 용기를 심어주는 이 책, 누구에게라도 적극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