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넉 점 반 - 20주년 기념 개정판 ㅣ 우리시 그림책 3
이영경 그림, 윤석중 글 / 창비 / 2024년 8월
평점 :
아이들이 어렸을 때 너무나 좋아해서 어림잡아 몇 백번은 읽었던 넉점반. 이 책을 다시 만나게 되니 어찌나 반갑던지.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아이들과 함께 소리내어 읽었던 그 시절이 소환되는 듯 했다.
이 책은 <넉점반>의 20주년 개정판으로 아이들의 순수한 놀이세계와 마음를 너무나 잘 표현하고 담아낸 그림책이다. 그렇기에 20년이라는 시간 동안 늘 아이들 곁에 머물며 책을 보는 즐거움과 재미를 알려주었다. 윤석중 시인의 시를 바탕으로, 그림책 작가 이영경님의 귀엽고도 한국적 정서가 물씬 느껴지는 그림은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아 왔기에 우리 그림책계의 고전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의 이야기는 엄마 심부름을 하게 된 아이가 동네 점방(가게)에 시간을 묻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아직 시계가 집집마다 없었던 시절이었기에 점방에 시간을 물으러 가는 심부름을 하게 된 것이다. 아이는 아저씨로부터 "넉 점 반이다"라는 대답을 듣고는 잊어버리지 않고 엄마에게 전달하기 위해 "넉 점 반, 넉 점 반"을 계속 말하며 집으로 돌아온다.
아저씨의 대답을 빨리 집으로 가 엄마에게 전해야 하지만 집으로 오는 길 아이의 눈에 잡힌 가게 앞 닭 한마리. 아이는 집으로 오다가 물 먹는 닭을 한참 구경하고, 또다시 "넉 점 반, 넉 점 반"을 중얼거리다 이번에는 줄지어가는 개미를 한참 앉아 구경한다. 그리고 하늘로 날아가는 잠자리도 아이의 눈에 놓쳐지지 않는다. 아이는 아저씨에게 물어 알게 된 지금 시간을 엄마에게 빨리 알려줘야 하지만 한참 아이만의 놀이에 빠져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다. 이런 아이의 순수한 모습들을 보다보면 책을 보는 아이들 역시 자신의 모습과 너무 닮은 책 속 아이 모습에 공감하게 된다. 아이의 눈에 너무나 신기하고 놀 것들이 많은 세상. 그렇게 아이는 한참의 시간을 보낸다.
결국 아이는 해가 꼴딱 져 어스름해졌을 때서야 집으로 돌아온다. 시간은 훌쩍 지났지만 엄마의 심부름은 잊지 않았던 아이는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엄마 시방 넉 점 반이래"라고 말한다. 이 책의 가장 포인트가 되는 건 깜깜해진 밖의 풍경과는 아랑곳업이 지금 시간이 네시 반이라고 말하는 아이의 천진난만한 모습이 아닐까 싶다. 이 장면을 우리집 아이들은 얼마나 재미있어 하였는지, 이 장면만 읽고 또 읽고 따라하곤 했었다. :)
우리 시와 그림이 만나 아이의 순수한 마음을 너무나 잘 표현해 낸 넉점반. 20주년 개정판인 이 책은 기존의 책보다는 판형이 조금 더 커져서 책을 즐기기에 더욱 좋게 변했다. 하지만 그 안에 담긴 정답고 귀여운 아이의 모습과 이야기는 변하지않고 고스란히 담아내어 더 많은 아이들에게 책의 즐거움과 재미를 전하고 또 전하지 않을까 싶다. 그렇기에 앞으로 30주년, 40주년 개정판이 계속해서 나올꺼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