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애에 이름을 붙인다면
시요일 엮음 / 미디어창비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를 행복하게 하고 기쁘게 하는 감정의 기반은 바로 사랑이 아닐까. 세상에는 여러 가지 사랑이 존재하고 그 사랑은 우리를 살아가는 게 큰 힘을 가져다 준다. 그런 사랑에 이름을 붙인다면 아마 더 큰 의미로 다가올 듯 싶다.


드디어 기나긴 겨울이 끝나간다. 따뜻한 봄이 되면 왠지 설레이고 싶은, 그럴 때 읽을 딱 좋을 시집이다. 그리고 혹시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면 아마 이 시집에 폭 빠질 듯 싶다. 이 시집은 사랑의 시작을 테마로 다채로운 목소리를 담은 시 67편을 담고 있다. 이 시집은 사랑이 시작되는 장면에서 영원히 잊지 못할 문장들이 가득한 시를 담고 있어 읽는 것만으로도 설레이고 말랑말랑하게 만든다.


시를 읽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때면 '그렇게 말을 자주 참으면 마음이 시가 되기도 합니다. 시가 마음이 되기도 합니다.'라는 문장을 떠올리면 참 좋을 듯 싶다. 시를 통해 깨닫게 되는 마음, 시를 통해 전해지는 마음. 생각만 해도 참 좋다. 이게 바로 우리가 시를 읽는 이유겠지. 그리고 시를 적는 이유겠지.


<종소리 안에 네가 서 있다>는 사랑에 빠지게 될 때 의 마음을 너무나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다. 조약돌을 주워 호수에 던지면 동그렇게 무늬가 끝도 없이 생기는 것을 장옥관 시인은 종소리 같다고 말한다. 물무늬처럼 끝없이 번지는 종소리는 사랑에 빠진 내 마음과 같으며 내가 사랑하는 그 사람은 종소리 안에 온종일 서있다. 내 마음 속에 항상 그 사람이 있는 것처럼 말이다.


이문재 시인의 <꽃말>은 처음 읽을 때는 연인간의 사랑 이야기로 다가왔는데, 읽으면 읽을수록 왠지 아이들을 바라보는 부모의 마음과 같이 느껴진다. 아이들에게 마음을 담아 많은 것들을 전해도 아이들은 자기들 생활에 바빠 부모의 마음을 알아채지는 못한다. 마치 시에서 꽃말에 마음을 담아 꽃을 전하지만 꽃만 보고 꽃말을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마음에 꽃이 살지 않아 꽃도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그럼에도 부모인 우리는 꽃말에 첫 마음을 담은 것처럼 변함없이 그 마음을 준다. 비록 마음들 사이에 꽃이 시들어버릴지라도 말이다. 그렇기에 부모는 늘 자식을 외사랑한다.


이 시집에 담긴 여러 시들 중에 나의 마음을 울리며 함께 나누고 선물하고 싶은 일은 바로 곽재구님의 <좋은 일>이다. 우리가 살면서 참 좋다고 느끼는 순간을 풀어낸 이 시에서 말하는 좋은 일들을 하나씩 떠올려 보면 나도 모르게 미소를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시를 읽고서 웃음을 지을 수 있는 시간을 선물하고픈 마음에 이 시를 내가 사랑하는 이에게도 선물하고 싶다.


시대와 사람을 막론하고 사랑은 누군가에게나 큰 변화를 맞이하게 한다. 그만큼 사랑이 가진 힘은 크며 위대하다. 어떤 종류의 사랑이든 사랑은 힘을 가지고 있고, 우리를 성장시키며 변하게 만든다. 이 책은 그런 사랑이 한 사람의 삶을 통과하면 얼마나 깊어지고 풍성해지는 지를 총 3부에 걸쳐서 아주 다양하고 폭넓게 담아내고 있다. 1부 <사랑을 시작하는 얼굴>에서는 세상에서 가장 달콤하고 낭만적인 사랑을 담았고, 2부 <당신이라는 기묘한 감정>에서는 뜨겁게 타올랐던 사랑이 정점을 찍은 불러온 변화에 대해 담고 있다. 그리고 3부 <우리가 한 몸이었던 때를 기억해>에서는 남녀 간의 사랑을 떠나 다양한 사랑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한 장 한 장 읽을 수록 더더 깊이 있고 풍성한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하는 이 시집, 따스한 봄을 기다리며 읽어보면 참 좋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