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2평짜리 베란다 목공소 - 세상에서 가장 마음이 편안해지는 곳
김준호 지음 / 더퀘스트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각사각, 나는 주말마다 나무를 깎는 도시의 목수가 됩니다."라는 띠지의 문구가 눈에 쏙 들어와서 읽게 된 책이다. 게다가 황보름 작가와 임리아 작가가 강력 추천한 책이라니. 읽기도 전부터 과연 어떤 내용의 책일지 무지 기대가 되었다.


이 책을 황보름 작가는 '무료하고 밋밋한 일상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멀리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칭하고 있다. 매일 반복되고 지루한 일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구지 돈을 들여 비행기를 타고 멀리 여행을 가지 않더라도 좋아하는 것을 사기 위해 몇시간 동안 쇼핑을 하지 않더라도, 집 안의 아주 작은 베란다에 마련한 목공소를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말한다. 직장인인 저자는 주말이면 번잡한 일상을 뒤로하고 베란다에 차린 작은 목송소에서 사각사각 도시의 나무를 까는 목수가 된다. 상상만 해봐도 참 멋져 보인다. 목공에 대한 경험이 없어서 과연 어떤 매력을 가진 지는 다 알지는 못해도 목공을 통해 얻은 경험을 토대로한 그의 이야기를 읽다보니 오직 자신만을 위한 일, 그리고 잠시 멈추고 쉬어가는 일, 그것이야 말로 행복한 삶을 사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목공을 하다보면 나무를 여럿 이어붙여 하나의 큰 판으로 만드는 '집성'이라는 작업이 필요할 때가 있다. 저자는 무를 집성하는 일을 하다보면 나무의 결을 맞추는 것이 사람과 맞추어가는 일과 너무 닮아있다고 말한다. 나무의 결을 자연스럽게 맞추기 위해서는 무늬가 흐르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결을 맞추어야 보기에도 좋고 집성한 티가 잘 나지 않는다. 그래야 하나의 넓은 판재로 보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오랜 세월 자라며 띠게 된 세로 방향의 결대로 붙은 나무들끼리는 더욱 단단하게 굳어 떨어지지 않는다. 강제로 분리하려고 해도 잘되지 않을 만큼 말이다. 마치 각기 달리 살아온 두 사람의 삶의 결이 인연이라는 접착제로 엉겨 붙어 쉽게 떨어지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참 신기하게 목공의 일은 그렇게 우리네 삶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그리고 목공을 하면서 깨달은 진리는 '잠깐 쉬었다 가기'다. 계속 반복되는 실수를 하게 되는 자신이 한심하게 생각되어 목공 장인 선생님에게 원인을 물었더니, 선생님의 답은 "한 번에 다 끝내려고 하니까 그렇지. 30분쯤 쉬었다 다시 해봐. 그러면 보여."였다고 한다. 한번 시작하면 쉼 없이 작업을 해왔던 저자는 매사에 과도하게 목표지향적인 생활방식이 오히려 실수를 유도하고 있었음을 깨닫게 된 것이다. 이후 의식적으로다 중간에 잠깐 쉰다는 저자의 말은 우리의 삶에서도 빠르게 가는 것이 무조건 정답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만든다. 잠시라도 쉬어가며 쉼과 일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 우리는 행복하면서 더 좋은 결과를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자는 자신이 어느 순간 쳇바퀴 도는 조직의 한 부품이 되었다고 느껴 더 이상 남의 눈치를 보지 않고 스스로가 주도하는 인생의 2막에 도전해보기로 한다. 컴퓨터 화면만 보던 몸을 일으켜 땀을 뚝뚝 흘리며 온몸을 움직이는 일은 안 쓰던 근육을 하나하나 일깨웠고, 지루하던 삶에도 생기를 불어넣었다. 생각하는 것 대신 몰입하는 것이 얼마나 즐거운 일 인지를 알게 되었고, 아무리 작은 소품이라 할지라도 쓰는 이의 입장을 배려하는 태도를 배웠다. 그리고 작은 틈만 생겨도 결국 틀어지는 나무의 습성은 인간관계를 묘하고 닮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였다. 그리고 저자는 가구와 인테리어를 보는 눈과 스마트스토어에 작품을 올려 고객과 만나는 요령도 덤으로 얻게 되었다 한다. 그렇게 이 책에는 저자는 목공을 하게 되면서 얻게 되는 깨달음과 울림이 솔직하고 담백하게 닮아 있다. 그래서 나처럼 목공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 하더라도 그가 전하는 진심과 깨달음은 고스란히 전해져 나의 마음도 울리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