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느리지만 단단하게 자라는 식물처럼 삽니다 - 식물의 속도에서 배운 16가지 삶의 철학
마커스 브릿지워터 지음, 선영화 옮김 / 더퀘스트 / 2023년 9월
평점 :
제목이 마음에 들어서 읽게 된 책이다. 그런데 띠지 속 글귀가 마음에 콕 박힌다.
"멈춰 있는 게 아니라 싹을 틔울 준비 중입니다."
우리 인간의 눈으로 보기에 식물은 늘 똑같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시간이 한참 지난 후 다시 보았을 때 식물은 믿기지 않을 정도의 성장을 하고 있음을 깨닫곤 한다. 우리 눈에는 똑같아 보이지만 사실 그 안을 살펴보면 자신만의 속도로 '느리지만 단단하게 자라'고 있었던 것이다.
이 책은 전 세계100만 명의 팔로워를 자랑하는 인기 정원사가 전하는 인생이라는 흙을 뚫고 마침내 꽃을 피우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리고 나를 북돋는 환경을 만드는 방법, 인생의 역경을 헤쳐나가는 방법 등에 관한 식물의 16가지 삶의 철학을 담고 있다.
저자는 '성장을 밀어붙이는 방식으로 식물도, 사람도 모두 자라게 할 수 없다'고 말한다. 저마다 고유의 의지가 있고 필요도 제각각 다른 식물과 사람은 공통적으로 성장을 '북돋아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식물도 사람도 성장하는 속도가 제각각 다르기 때문에 저마다 자신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성장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기에 모든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성장이 완성되지 않는다고 조언하고 있다. 성장을 밀어붙이기보다는 북돋울 때 비로서 시작되며, 그러려면 식물이든 사람이든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사람들은 보통 새로운 식물을 들이게 되면 마음이 들떠서 빨리 자라기를, 혹은 빨리 꽃을 피우기를 바라곤한다. 그러다 보니 식물을 충분히 보살피고 있는 지 걱정이 되어 자꾸 물을 주거나 이리저리를 자리를 옮기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조급한 태도는 오히려 식물에게 좋은 의도였지만 해가 되어 오히려 식물을 죽이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렇기에 새로운 식물을 들이기 전에 기존의 정원을 먼저 관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식물을 오래도록 건강하게 키우고 싶다면 정원을 조성할 공간의 기존 생태계와 햇빛, 기후 조건을 함께 고려해 보고 거기에 맞는 식물을 들이는 것이 맞다는 것이다. 우리네 삶도 이와 마찬가지다. 우리가 살면서 습관을 바꾸거나 일과를 조정하고 싶다면 기존의 패턴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자신이 어떤 선택을 하게 된 이유를 알아야 스스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식물을 통해 우리는 또 하나의 삶의 지혜를 깨닫게 된다.
저자는 마약, 범죄, 폭력이 만연한 동네에서 선천적인 병과 피부색으로 인한 폭력과 차별을 겪으면서 자랐다고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경험에 피하지 않고 맞서 자랐다. 저자는 이 모든 게 가능했던 이유가 식물에서 배운 삶의 지혜 덕분이라고 말하고 있다. 작가의 어린 시절의 경험과 식물들 돌보며 깨닫게 된 삶의 지혜와 철학은 우리에게도 나아가 공감과 깨달음을 준다.
살다보면 힘들고 어려운 일을 겪게 된다. 아마 누구나 그럴 때면 막막하고 걱정과 불안이 앞설 것이다. 그럴 때 어떤 시련이 닥쳐도 성장을 포기하지 않는 식물을 보며 나 자신을 돌아보면 어떨까. 누군가와 다름에 신경 쓰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고유한 모습과 성장에만 집중하는 식물에게서 저자가 그러했던 것처럼 새로운 답과 해결방안을 찾게 되지 않을까. '느리지만 단단하게 자라는 식물처럼' 사는 것이 어쩌면 우리 자신으로서 성장하여 자신만의 꽃을 피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