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내식 먹는 기분 - 정은 산문집
정은 지음 / 사계절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으로 왠지 마음이 두근거렸다. 비행기를 타고 기내식을 먹고 여행을 간다는 것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그러할 듯 싶다. 하지만 이 책의 기존의 여행 에세이와는 조금 다르다. 저자는 15년 동안 세계 여러 도시에 한두 달 머무르다 한국으로 돌아오는 생활을 이어왔는데, 흔히들 하는 '외국에서 한달 살아보기'와는 생활 자체가 너무나 다르다고 할까. 지금의 생이 자신의 삶이 아닌 것 같아 유령처럼 서성이는 마음을 어찌하지 못하고 숨이 막혀 도망치듯이 한국을 떠났다가 돈이 떨어지면 되돌아와 최저시급을 받고 일을 하며 돈을 모아 다시 비행기 티켓을 사는 저자의 생활은 기존의 여행 에세이와는 너무나 결이 다르다 하겠다. 


비행기를 타기 전 설레이는 마음으로 기내식을 기다리다가도 막상 먹으면 그 맛에 실망한 경험은 아마 많은 이들에게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행에 앞서 비행기를 타면서 또 기내식을 기대한다. 저자는 '기내식을 먹는 기분'의 맛은 땅 위 어느 식당도 재현할 수 없을 꺼라고 말한다. '기내식을 먹는 기분'의 맛의 핵심은 바로 비행기가 멈추면 내 삶도 멈춘다는, 죽음에 대한 불안감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기내식을 먹고 나면 죽음에 대한 생각은 사라지고 살아 있다는 안도감과 함께 땅 위에 두고온 자잘한 고민들은 사라지고 잠이 오게 된다. 그리고 잠에서 깨면 또 기내식이 나온다. 이러한 망각 서비스야 말로 비행기가 제공하는 최상의 서비스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래서 저자는 자신으로부터 도망치고 싶을 때마다 비행기 티켓을 샀다. 그렇게 산티아고 순례길을 걷고, 인도와 미국을 여행하고, 마침내 뿌리를 내리고 살게 해준 서울에 대한 저자의 매력적인 이야기들이 저자가 직접 찍은 사진들과 함께 이 책에 담겨져 있다. 

저자가 산타아고로 향하게 된 것은 '순례자의 길'을 걷고 나면 작가가 될 수 있다고 해서이다. 그 때 저자는 한국을 벗어나 어디로든 떠나고 싶었고, 작가가 되고 싶었다고 한다. 악마가 걸작을 쓰게 도와준다면 영혼이라도 팔고 싶은 심정이었기에 저자는 800 킬로미터에 이르는 길을 걷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돈도 없고, 근육도 없던 저자는 그 길을 추천한 친구를 증오하기도 하고, <연금술사>와 <순례자>라는 글을 써서 순례자 길을 유명하게 만든 파울로 코엘료를 미워하면서 길을 걸었다. 당시 저자는 사람이 힘든 일을 겪고 나면 성장한다고 믿었다고 고백한다. 그렇기에 고난과 역경 속에 일부러 자신을 던지곤 했지만 그 여정 속에서 몸이 힘든 것과 정신이 성숙하는 것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리고 그 여정 속에는 고생 빼고는 얻을 것이 없다는 걸 깨닫고는 자신이 가진 많은 것을 버린다. 가방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하나씩 버리다가 저자는 자신이 누군지를 알게 된다. 끝까지 포기 못했던 수동카메라와 필름, 책과 노트 덕에 저자의 시선으로 포착한 많은 멋진 사진들을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내가 겪은 것과 같이 생생한 이야기들도 함께 마주할 수 있다.


저자는 카미노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대접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 방송작가 K, 순례자의 길을 걷는 사람들의 불문율이었던 직업을 묻지 않을 수 없게 만든 전 국회의원, 전기도 화장실도 없는 열악하기 짝이 없는 곳이지만 다시는 만날 수 없는 영혼의 음식을 담아 내놓았던 알바르게의 주인, 불편한 몸으로 구걸을 하며 순례길 여비를 마련하는 진짜 순례자들, 경멸의 눈으로 그들을 바라보며 불쾌해하던 고급 등산화를 신은 사람들 등등과 저자의 뇌리 속에 끝까지 남았던 에리히와 복스. 순례자의 길에서 만난 다양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는 길의 뒷모습이자 진짜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기에 저자의 이야기 속에 나는 빠져들 수 밖에 없었고, 순례자의 길을 떠나며 울었다는 대목에서 나 또한 울컥해졌다.


이 책에는 오직 저자만이 마주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지만 그 이야기를 읽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따스해지는 사람 냄새 가득한 이야기들이 참 많다. 저자가 함께 순례길을 걷고 싶었던 유일한 외국인인 에리히는 군인 복장을 하고 복스라는 개와 함께 걷고 있었다. 선한 눈빛과 개에 이끌려 어설픈 영어와 몸짓으로 열심히 대화를 이어가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하는 미국 여자애에게 기회를 빼앗기기도 한다. 설레이는 마음으로 자신이 가진 애정을 확인하기도 전에 그가 자신에게 보낸 관심과 배려가 '혼자 있는 외롭고 불쌍한 소녀'에 대한 연민이었음을 깨닫지만 또다시 마주치면 산티아고까지 같이 걷자고 제안하기도 한다. 하지만 운명의 장난처럼 두 갈래의 갈림길에서 그와 다른 선택을 한 저자는 결국 여정이 끝날 때까지 그를 만나지 못핸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은 저자에게 아직도 떠올리면 마음이 저릿저릿한 통증처럼 다가오는 에리히가 다른 이들에겐 그저 '냄새 나는 군인 아저씨' 였다는 점이다. 누군가와의 인연은 정말 특별할 수도 있지만 스쳐지나가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정말 하찮을 수 있음을 깨닫게 하는 장면이기도 하고, 왠지 끝까지 만나지 못해 더 가슴 아프기도 하는 대목이다. 


저자가 만들어낸 연인이란 단어의 유래는 너무나 그럴 싸해서 왠지 굳건히 믿고 싶어진다. 서로 거울을 들고 비춰주는 관계에 있는 사람들은 발전할 수 밖에 없듯이 여행 역시 우리를 성장시킨다. 이는 '여행을 다녀오는 일이 먼 땅에 거울을 하나 만들어두고 오는 일'이기 때문이다. 저자가 보기엔 지구에게도 전파망원경이라는 거울을 들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1977년에 쏘아 올린 무인 탐사선 보이저호는 지구가 떠난 여행이자 지구에서 쏘아 오린 거울과 같아 보인다. 1990년 보이저호가 태양계 바깥쪽을 향하던 카메라를 돌려 창백한 푸른 점처럼 보이는 지구 사진을 보냈을 때 거기에 비친 우리는 그제서야 우리 자신이 누군지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이저호가 그랬던 것처럼 우리는 나를 정확이 보려고 비행기 티켓을 사고서 여행을 떠난다.


이 책에 담아낸 풍경과 사람, 공간에 자꾸만 빠져들게 된다. 이태껏 나란 사람은 결코 경험하지 못했던, 마주하지 못한 것들이라서 더더욱 매혹적이다. 그리고 정확하게 자신을 보기 위해 남들이 가지 않는 낯선 길을 걸어온 저자에게 응원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저자의 시선으로 담아낸 사진들이 자꾸만 눈길을 잡아 끄는 것은 그 안에 담긴 저자의 스스로를 믿는 용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나는 그 용기를 조금이라도 얻고 싶어 보고 또 보아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