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 별빛처럼 빛난 자들 - 20세기 한국사의 가장자리에 우뚝 선 이름들
강부원 지음 / 믹스커피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 이끌려 읽게 된 책이다. 워낙에 역사를 좋아하는 데다가 <역사에 별빛처럼 빛난 자들>이라는 제목을 가지게 한 인물들이 궁금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스물여섯 명의 인물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색을 띠며 평생을 살고 그랬기에 역사에 밤하늘의 별빛처럼 은은하게 빛나는 사람들이다. 역사에 큰 획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그들은 남들이 가지 않는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시련을 꿋꿋이 견뎌내고, 약자에게 손을 내밀었다. 그렇기에 이 책을 통해 그들의 삶을 기억하는 건 참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인물들은 세상이 빛날 때는 구지 눈에 띄지 않으려 하지 않지만, 세상이 어둠에 잠겼을 때 한 줌의 빛이라도 되고자 했던 이들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참기 힘든 일을 잘 견대내며, 어려운 이웃에게 손 내밀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20세기 한국에서는 그들을 괴짜 혹은 별종으로 불렸다. 정립된 세계 질서에서 빗겨나 세상의 가장자리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색을 지키며 미래의 시간을 앞서 살았기 때문이다. 평범한 입신양명의 가치관으로 그들을 이해하기란 어렵다. 하지만 이 책은 말한다. 스스로의 삶을 가꾸고 정돈하면서 타인을 위해 희생과 헌신한 존재들, 척박한 길을 개척하며 수없이 넘어져도 다시 일어선 자들,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친 본인만의 빛을 내며 반짝이던 그들을 더이상 모른 체할 수 없었다고 말이다. 그렇기에 나 또한 저자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그동안 알지 못했던 이들을 다시 들여다 보길 바래본다.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스스로 빛난 찬란한 별들을 소개한다. 세계 최고이자 조선 제일의 무용수 최승희를 비롯하여 한국의 영원한 마돈나, 김추자. 그리고 뮤지컬계의 대모이자 영원한 피터팬, 윤복희, 새롭지 않은 걸 부끄러워하는 음악가, 김창환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2부에서는 약자들의 편에 선 자들의 이야기를 담아내었다. 불의와 횡포에 맞선 한국 야구계의 영원한 불꽃, 최동원. 흥남부두에서 9만 8천명을 피난시킨, 현봉학, 시각장애인들의 세종대왕이라 불리는 '훈맹정음'의 창시자, 박두성, 끝끝내 지켜야 할 아름다운 이름, 전태일 등이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마지막 3부에서는 시련을 견뎌낸 존재들이 주를 이룬다. 조선 최고의 대부호이자 문화재 수집가, 간송 전형필, 한국 프로레슬링계의 풍운아, 김일, 현대바둑의 패러다임을 바꾼 바둑의 신, 이창호 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책의 스물여섯 명의 인물들 중 내가 알고 있는 인물들도 있지만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인물들도 있다. 그 중 정종명에 대한 존재는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그녀를 기억하지 못한게 죄송했다. 가난한 여성들도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 최초의 여성지도자이자, 여성들이 서로 연대하며 한 목소리를 내면 세상을 바꿀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준 배짱 넘치는 큰언니를 이제서야 알게 되다니. 지금의 사회는 여성이 살기에 아직도 갈길이 멀지만 예전보다 훨씬 나아졌다. 우리가 이렇게 될 수 있었던 데에는 정종명과 같은 여성들의 오랜 노력과 헌신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겠다. 

시각장애인이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읽고 셈하는 능력'을 기르는 일이 최우선이라 생각했던 박두성은 '훈맹정음'을 만들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할 때 떠올린 이상과 목표를 동일하게 반영하여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과학적 원리를 점자 체계에 그대로 적용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운명의 장난이었을까. 시각장애인의 교육과 점자 보급 활동에 전력을 하던 박두성은 말년에 접어들며 시력을 잃게 된다. 시력을 읽고서도 점자 보급 활동을 멈추지 않았던 박두성. 그렇기에 그는 '시각 장애인들의 세종대왕'으로 불리우는데 평생을 걸친 그의 삶을 보면 그 명칭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일평생을 살면서 우리는 대부분 빛나는 삶을 살기를 바란다. 과연 어떻게 사는 것이 빛나는 삶인지는 이 책에 담긴 스물 여섯명의 삶에서 깨달을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그들의 일생을 보는 것만으로도 왠지 용기와 위안을 받는 것은 그들의 삶 속에는 자신만의 빛이 있기 때문인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