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표준 노트 - 창의력을 자극하는 174가지 그래프
팀 샤르티에.에이미 랭빌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창의력을 자극하는 174가지 그래프

정말 예쁜 책이다. 책이 아닌 노트라고 칭하는데 진정 그렇다고 인정할 수 있다. 규격은 가로 5.5인치, 세로 8.5인치로 책등 안쪽의 맨 밑바닥을 원점으로 정하고 있다. 수학을 좋아하는 건 아니지만 프랑스 수학자 소피 제르맹이 말한 "대수학은 문자로 나타낸 기하학이고, 기하학은 그림으로 나타낸 대수학."을 표방하여 저자들이 사용하는 방법임을 밝히고 있다.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 않기로 한다. ^^;;

- 수학은 즐거운 자발성이 넘쳐나는 분야로 인식되지 않는다. 오히려 정반대로 구조의 영역, 숨 막히는 제약이 넘치는 왕국으로 간주된다. 규칙을 깨는 생각을 위한 비표준적 노트를 만들려고 할 때 대수학은 참고해야 할 카드로 전혀 떠오르지 않을 것이다. p 15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수학의 규칙이 노트의 규칙 같다는 것을 보여주고 자' 한다. 그리고 이 노트는 함께 신나게 놀아보자는 초대장이라고 밝힌다.

직선은 가장 수학적이란 생각이 든다. 저자가 말하길 우주의 언어인 수학에는 모든 것 중에서 가장 단순하고 우아한 기본 구성 요소가 있는데 바로 직선이라고. '고전적인 형태'의 직선은 지극히 평범하지만 그 점이 참 익숙하다. 단순한 수학적 표기법으로 방정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내게는 머리만 아플 뿐이라서 애써 사고하진 않는다. 제목(?)과 방정식이 직선 모양과 일치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어떻게 보면 기하학적 무늬란 생각이 들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 보면 미술처럼 보이기도 한다.

직선, 포물선, 다각형, 원, 파동, 극한, 회전, 확대와 축소, 극좌표계, 경로, 무작위성, 3차원의 주제로 비표준 노트를 꽉 채우고 있다. 일정한 규격의 안정감, 착시효과가 느껴지는 입체적인 무늬들 속에서 예술성과 창의력을 느낄 수 있었다. 자와 컴퍼스가 있으면 따라 그릴 수 있을까? 흉내 내고 싶은 욕망이 생기는 비표준 노트였다.

신선한 느낌이 강하게 다가왔고 수학은 예술의 일종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한마디로 멋진 책이다.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