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기본기 다지기 - 바른 문장, 섬세한 표현을 위한 맞춤법 표준어 공부
오경철 지음 / 교유서가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른 문장, 섬세한 표현을 위한 맞춤법 표준어 공부

모국어지만 우리말은 헷갈릴 때가 많다. 자주 쓰지 않는 단어가 특히 그러한데 이걸 또 제대로 익혀 수정하지 않으니 계속 반복되고 반복되어 이 기회에 바로잡아 보고자 선택한 도서이다.

표지부터 개성적인데 읽으니 머리가 지끈거렸다. 제대로 공부하며 읽지 않는 이상 읽으나 마나 한 상태가 되어버릴 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구성을 살펴보면 '발음이 같거나 비슷해서 헷갈리는 말', '의미가 전혀 다름에도 혼용되는 말', '비슷한 듯하지만 구별해서 써야 하는 말', '옳은 말, 그른 말' 등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우리말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쉬운 예시와 부담 없이 읽을 수 있게 간결하게 쓰였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푸르르다'와 '사랑스런'을 예시로 차이점을 알려준다. 대부분 그러하겠지만 글을 쓴 후 필히 '맞춤법'을 확인한다. 그때마다 '~스런'을 꼭 지적받았는데 그 이유를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어 속이 시원했다.

'너머'는 명사로 공간이나 위치의 뜻을 가진 낱말이고 '넘어'는 동사이다. 저자는 '어깨너머', '어깨 너머', 그리고 '어깨 넘어'의 제각각 뜻을 친절히 설명해 준다. '어깨너머'는 '남이 하는 것을 옆에서 보거나 듣거나' 하는 것이고, '어깨 너머'는 실제 어깨의 너머라는 뜻이며, '어깨 넘어'는 말 그대로 어깨를 넘는다는 뜻이라고 한다. '어깨 너머'와 '어깨넘어'는 그저 띄어쓰기가 다를 뿐인데 그 의미마저 다르다니 머리가 뱅글뱅글 돌 것 같았다. 하지만 가만히 '어깨너머'와 '어깨 너머'를 읊조려보니 느낌에 차이가 느껴져 그 뜻이 왜 다른지 이해할 수 있었다.

'띄다'와 '띠다', '부치다'와 '붙이다', '싸이다'와 '쌓이다', '안치다'와 '앉히다'는 발음이 같거나 비슷해서 더 헷갈린다. 평소엔 크게 의식하며 사용할 일이 없더라고 막상 글로 쓰면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왠'과 '웬'의 경우도 종종 아리송한데 '왠'이 들어가는 글자는 '왠지'뿐이라고 하니 이것만 기억해 두면 실수할 일은 없을 것 같다.

김치나 장, 젓갈은 '담갔다'라고 해야 옳으며, '담궜다'라는 표현은 잘못되었다고 한다.

유익한 시간이었지만 쉽지 않은 시간이기도 했다. 평소 꾸준한 학습을 통해 하나씩 제대로 잡아나가야겠다 다짐해 본다.

상식적인 차원에서라도 알아야 할 맞춤법 표준어 공부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추천한다.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설명글과 친절함을 통해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