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가장 가까운 적, 성병
엘렌 스퇴켄 달 지음, 이문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우리 몸에 가장 가깝게 숨어 있는 성병, 적과의 동침에서 살아남는 방법

이 책은 총 11가지 성병을 주제로 환자와 상담 내용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가 밝히길 환자와의 상담 내용은 허구이지만 상담실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사실이라고 한다.

이 책에서 마주하는 성병의 종류는 임질, 헤르페스, 생식기 사마귀, 매독, 질펀모충염, 클라미디아, 사면발니, HPV 관련 자궁 경부암, 미코플라스마, 옴, HIV와 AIDS에 관한 약간의 지식들이었다. 익숙한 성병도 있고 처음 들어본 성병도 있었는데 옴의 경우는 그저 진드기로만 생각하고 있었기에 성병이라니 의외였다.

각각의 성병에 대해 그 유래를 찾아 떠나는 시간들이 흥미로웠다. 읽으면서 약간은 더럽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성병은 도덕성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엔 어느 정도 동의할 수 있었다. 어쨌든 현대에서 거의 모든 성병에 대한 치료제가 있다는 점에서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다.

HIV와 AIDS에서는 퀸의 프레디 머큐리가 떠올랐다. 그 당시엔 불치병이었지만 현재는 기대수명만큼은 생존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기에 그의 이른 죽음이 안타깝다. 한편으로는 본인이 자초한 것이란 생각도 들지만.

저자는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 각 성병의 역사를 되짚는다. 성병의 대명사 격인 매독은 유럽에서 처음으로 출몰했다. 전쟁 중에 출몰한 이 병은 서로 떠넘기기 식의 별명이 많았다. 그만큼 심각했고 치료가 어려웠음을 방증하고 있었다. 전설적인 변종인 신경 매독의 발생에서 저자는 철학자 니체를 소환한다. 어쨌든 매독이란 성병의 무시무시함을 잘 들여다볼 수 있었고 그 치료제로 수은이 사용되었다는 점은 안타까웠지만 의사의 부단한 노력엔 박수를 보내고 싶다.

원치 않은 또는 의외의 이유로 성병을 진단받는다면 참으로 충격이 클 것이다. 각각의 성병에 대한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알게 된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