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 유시민의 30년 베스트셀러 영업기밀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시민은 전 국회이원, 전 보건복지부 장관보다 작가와 평론가라는 이름이 더 잘 어울리는 사람이다. 그는 자신의 후원인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에서 글쓰기 특강을 진행했다. 누가 들을지 궁금했지만 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이들도 많았고, 글쓰기에 대한 열망에 놀랐다고 한다. 강연 이후 강연 내용과 자신의 생각을 ‘글쓰기 특강’으로 출간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글쓰기에 대한 두렴움을 없애고, 누구나 글을 쓸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도와준다.


글은 두가지로 나뉜다. 문학적인 글과 논리적인 글. 문학은 감정이 풍부한 사람만이 쓸 수 있다. 사람의 감정을 움직이는 문학작품을 누구나 쓸 수 있는것은 아니다. 하지만 논리적 글쓰기는 다르다. 글쓰기 원칙을 지키며 글쓰는 연습을 한다면 누구나 유시민 만큼 글을 쓸 수 있다.  유시민은 자신만의 글쓰기 원칙이 있다. 이 세가지 원칙은 특별한 비법이 아니기에, 누구나 적용하면 좋을 원칙이다.


첫째, 주장과 취향을 구분하라. 내가 무엇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은 분명한 취향이다. 내 취향이 소중한 것처럼 다른 사람의 취향 또한 부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둘째, 주장을 했으면 논증을 하라. 내가 주장한 것에 대한 이유를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쓴다. 논리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대방이 납득할 수 있도록 글을 쓴다. 셋째, 일정부분 거리감을 둬라. 글을 씀에 너무 심취해서 내가 무슨 내용을 쓰는지도 모르면서 글을 쓰기보다는 자신의 방향을 인지하며 글을 쓰는 자세가 필요하다. 균형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그리고 이보다 가장 중요한 원칙이 있다. 많이 읽는다, 많이 쓴다.



짜이 밀레가

나는 회사원이 된 이후에 책을 읽기 시작했다. 독서 리뷰를 시작한 것도 2012년이다. 벌써 5년지났지만 처음 리뷰를 쓰던게 생각난다. ‘행복의 정복_버트런트 러셀’ 을 읽고 생각을 글로 남기고 싶었다. 그런데 막상 컴퓨터 앞에 앉아 워드를 열었는데 무었을 써야할지 몰랐다.  백색 화면에 커서는 깜빡거리고 손은 키보드 위에서 한참을 머뭇거렸다. 남의 글을 쉽게 읽고 잘못된 부분을 쉽게 찾았고, 다른 사람이 쓸 글을 편집하는 것은 쉬웠는데  내가 처음부터 글을 쓰려고 하니 손이 움직이지 않았다. 한참을 머뭇거리다가 몇일에 걸쳐 꾸역꾸역 리뷰를 완성했다. 하지만, 글에는 전체적인 흐름이 없었고, 문장은 어색했다. 저자의 주장과 내 생각이 구분되지도 않았다. 맞춤법은 당연히 형편없었다. 수정을 거듭하다가 도저히 못하겠어서 블로그에 업로드 버튼을 눌렀다. 아직도 기억이 난다. 물론 지금도 그때와 많이 다르지 않다. ㅎㅎ http://blog.aladin.co.kr/756773148/5466208


그 당시는 이런 저런 생각들이 많았다. ‘내용이 틀리면 어떻게 하지? 저자의 생각을 내가 잘못 안건가? 맞춤법은 다 맞나? 누가 보고 욕하면 어떻게 하지? 내 리뷰는 다른 사람에 비해 너무 초라한데? 아 쪽팔리다. ’ 불필요한 생각과 고민들은 글쓰기를 더욱 어렵게 했다. 하지만 글을 쓰면 쓸 수록 이런 고민은 서서히 없어졌다. 어렵긴 하지만 하나 둘 리뷰를 완성할때마다 작은 성취감도 느꼈다. 무엇보다 내가 좋아하는 행동을 위해 스트레스 받을 필요는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남들과 비교해서 초조해하기 보다는 그 자체에 재미를 발견했다. 어느순간 독서 리뷰는 내 취미가 되었다.  리뷰로 시작해서 컬럼을 보내기도 하고, 소설 공모전을 작성하기도 한다. 누가 시켜서 하는것도 아닌데 글을 쓴다는 것 자체는 참 재미있다.


글을 쓰는 방법에 대한 리뷰를 쓰다가 내 이야기가 길어졌다. 처음 글을 썼을 때 어려움과 글을 쓰는 즐거움을 쓰다보니 실컷 수다를 떨었다. 하고싶은 말은 하나다. 글을 쓰고 싶다면 많이 읽고 많이 쓰자. 꾸준히 하다보면 글쓰기는 것이 자연스러워지지 않을까? 그 날을 위해 꾸준히 그리고 즐겁게 글을 쓰자.






추천하는 책들

토지, 자유론, 코스모스


글쓰기 기술

모국어부터 완벽히 하자

중국어, 외국어 오남용 방지

한번에 한 문장만 쓴다

독자의 입장에서 쉽게 쓴다. 글쓰기는 자신의 지식을 자랑하는 것이 아니다.

거시기 화법은 지양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