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 공주 - 처음 만나는 그림동화, 명작동화 13 처음만나는 그림동화(삼성출판사) - 명작동화 13
안데르센 지음 / 삼성출판사 / 1997년 4월
평점 :
절판


엄지공주는 엄지크기의 작은 아가씨이다 엄지 공주의 어머니가 엄지공주를 굉장히 잘보살펴 주었는데..개구리가 자신의 색시감(자기주제도 모르고)으로 납치(?0를 해서 엄지공주는 사랑하는 어머니와 헤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개구리의 색시가되기 싫어 개구리밥(?)이었나 연꽃이었나 아무튼 그것을 물고기의 도움으로 끊어내고 도망을 간다 도망을 가서 만난(?)생쥐아주머니의 집에서 지내게 된 엄지공주는 생쥐아줌머니의 집안일을 도우면서 하루하루를 보낸다 그러던 어느날 길(지하땅굴속의 길)에 쓰러져있는 제비를 발견하고 열심히 병간호를 한다(이불도 덮어주고 밥도 먹여주고)

엄지공주의 보살핌으로 제비는 다낮는다 생쥐아주머니 동네(?)에서 가장부자인 두더지 아저씨가 엄지공주에게 청혼을 하고 생쥐아주머니는 그것을 받아들이라고한다 하지만 엄지공주는 따뜻한 햇살을 받으면서 지상의꽃들과 지내고 싶은데...엄지공주의 뜻과는 반대로 두더지 아저씨와 결혼하게 된다 결혼식날 마지막으로 지상의꽃을 보게해달라는 엄지공주의 부탁을 두더지 아저씨는 들어주고 그때 하늘에서 제비가 날아와 엄지공주를 납치(?)해서 날아간다 마지못해 결혼을 하는 엄지공주가 불쌍해 제비가 구해준것이었다

그리고 제비는 꽃밭으로 엄지공주를 데려다주고 엄지공주를 본 꽃의요정왕자는 첫눈에 반해 엄지공주에게 청혼을 하고 둘은 결혼해서 행복하게 잘살았다..쓰러진 제비를 구해주는 착한일을 해서 엄지공주가 나중에 행복해진것 같다 남에게 잘해주면 자기에게 다시 그복이 돌아온다는말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헨젤과 그레텔 - 처음 만나는 그림동화, 명작동화 8 처음만나는 그림동화(삼성출판사) - 명작동화 8
그림형제 지음 / 삼성출판사 / 1997년 4월
평점 :
절판


헨젤과 그레텔은 아버지와 새엄마와 함께살고 있었다 그런데 헨젤과 그레텡의 집은 가난하여 4사람이 먹고살기 힘들었다 그래서 새엄마는 헨젤과 그레텔을 숲속한가운데 버리자고 아버지에게 말한다 아버지는 처음에는 새엄마의 제의(?)를 거절했지만 결국 헨젤과 그레텔을 버리기로 결정한다 이 이야기를 몰래 엿들은 헨젤은 밤에 몰래 나가 조약돌을 주워와서 아침에 아버지를 따라 가면서 하나씩 하나씩 땅에 떨어뜨렸다

그리고 아버지가 둘을 남겨두고 떠난사이 조약돌을 보고 집으로 찾아왔다 헨젤과 그레텔이 돌아와 새엄마는 놀란다 그리고 다음날 다시 헨젤과 그레텔을 데리고 숲소으로 가서 아이들을 버린다 이번에도 헨젤은 조약돌 대신 빵을 남기면서 왔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았지만 밤이 되자 짐승들이 빵조각을 다 먹어 길을찾을수 없게 된다 길을 헤메다 과자집을 봤는데....그곳에는 아이들을 잡아먹는 마녀가 살고있었다 헨젤은 마녀의 밥(?)으로 밥을 많이 먹이고 그레텔은 음식을 만들며 집안일을 하고있었다

그리고 헨젤을 잡아먹기 위해 가마를 끓이라고 그레텔에게 말하는데 그레텔의 꼬임에 빠져 마녀는 가마솥에 빠져 죽고만다 오빠와 함께 그레텔은 마녀의 보물을 가지고 집으로 향했다 ...새엄마가 전처의 아이들을 괴롭히는 것은 다른책에서도 많이 나왔지만... 친아버지가 자신의친아이들을 버리는것은 너무 한것같았다 아무리 먹고 살기 힘들다지만 자신의 친아이를버리는것은 잘못한 일이다 그리고 새엄마는 왜 그렇게 전처의 아이들을 싫어 하는지?그냔 사이좋게 지내면 안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65일 요정이야기
자운영 지음, 윤은희 외 그림 / 지경사 / 2000년 12월
평점 :
절판


친구가 학교에 가지고 와서 빼앗아 본책이다 처음에는 표지가 특이해서 봤는데...읽어보니 내가 관심(?)있는 분야(판타지)의 이야기였다 판타지 소설을 읽으면 나오는 정령(불의정령 사라만다,물의정령 운디네,바람의정령 실프,땅의정령 )들이 '365일 요정이야기'에서는 불의 요정 물의 요정 바람의 요정 땅의 요정으로 나온다 요정하면 아름답고 착한 요정만 생각하는데...'365일 요정이야기'에서는 바람의 요정 실프와 물의 요정 운디네처럼 아름다운 소녀의 모습(하지만 바람의 요정은 바람으로 물의 요정은 물로 이루어져 있음) 을 한 아름다운 모습의 요정이 있는 반면 땅의 요정 노움과 같은 심술궂은 땅딸보 할아버지 모습을 한 요정도 있다

그리고 불의 요정 사라만다와 같이 사람의 모습이 아니고 불도마뱀(?)모습의 요정도 있다 또 죽음을 예고한다는 죽음의 요정 반시와 집안일을 해주는 요정..이름이 기억안나지만.. 집안일을 해주는 요정은 성격이 너무 특이한것 같다 왜냐하면 집주인에게서 옷이나 양말을(천으로 만든것)받으면 그 집을 떠나야 한다는것이 이해가 잘가지 않는다 집을 나온 요정은 새로운 집을 찾는데..찾아서 또 청소를 해주나?아무튼 '365일 요정이야기 에서는 여러가지 모습의 요정들과 여러가지역할(?)의 요정들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재미있다 개인적으로 판타지나 요정에 관심이 있으면 한번정도 읽으면 좋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사라 BASARA 11
타무라 유미 지음, 이은주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1999년 7월
평점 :
품절


바사라의 배경은 문명이 멸망해 버리고 사막화된 미래의 일본이다.무능력한 폭군에게 지배당하는 일본.백호마을에서는 폭군에게서 지배받는 사람들을 구해줄 운명의 소년으로서 예언을 받은 타타라와 오빠의 그늘에 가려져 지내는 타타라의 쌍동이 여동생 사라사가 마을 사람들과 함께살고있다 그러나 일본의 제패를 꾀하는 적왕(지금왕의 아들)에게 마을과 타타라가 살해되면서.. 사라사는 사람들에게 남겨진 희망을 지키기 위해 남장을 하고 타타라의 이름으로 사람들을 이끌며불타는 마을을 빠져나온다

그리고 사라사는 타타라로서 살아가기를 정하고 마음사람들과 오빠를 죽인 적왕에게 복수를 결심한다 처음에는 자신만의 복수를 위해 적왕을 없애버리겠다고 하지만 여행을 하면서 만나는 많으사람들을 만나고 지금의 왕을 없애고 모두가 행복해하며 살기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싸우기로 마음먹으며 진짜 예언의 아이가 된다 그리고 우연히 온천에서 만난 슈리와 만나느데 슈리의 정체는 사라사의 원수 적왕이었다 둘은 서로의 정체를 모른채 사랑하게 된다 그리고 전쟁터에서 둘은 만나는데....

사라사
타타라의 쌍동이 동생으로 진짜 예언의 아이. 그러나 이를 감추고 타타라가 예언의 아이인 것 처럼 키워져 왔다. 적왕에게 마을이 불타버린후 타타라를 대신해 사람들을 이끌고 일어나 적왕과 싸우지만, 모르는 사이 적왕인 슈리를 사랑하게 되어버린다.
슈리(적왕)
일본을 통치하는 폭군의 넷째아들로 적왕이라 불린다. 잔인하고 냉혹하지만 머리는 좋은듯.... 신하들의 부패를 알고 있으며 언젠가 신하들을 갈아버리고(?) 일본을 통일하려는 야망을 가지고 있다. 온천에서 사라사와 처음만나고 사라사를 사랑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백설공주 전설 프리티어 2
카르세 카오리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1년 11월
평점 :
품절


신 백설공주라기에 현대판인줄 알았는데...아와유키 히메노는 가난한 소설가 아버지와 단둘이 살고있었다 그이고 어느날 아버지는 어마어마한 갑부미망인과 재혼을 하는데...그로인해 히메노는 부자집의 딸이 된다 그러나 새엄마의 두딸들 즉 새언니들은 히메노를 무시하고 새엄마는 히메노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고 왕따를 시킨다 (히메노의 아버지 몰래)...그리고 우연히 리페나이츠를 하야테를 만나 프리티어의 능력을 발견하게되고 7명의 리페나이츠(하야테,사사메,케이,코우,만넨,하지메,신)와 함께 어둠의 여왕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신백설 공주전설 프리티어 는 여러가지 이야기를 섞은것 같다 백설공주와 신데렐라 변신해서 마법쓰는거등..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새엄마와 재혼을 하고 두언니와 새엄마에게 왕따당하는거랑 일곱명의 리페나이츠는 일곱난장이 같은것은 백설공주 가난하다가 어마어마한 재벌의 딸이된것은 신데렐라 리페나이츠 힘으로 변해 마법을 써서 일면 미소녀 변신물같고....여러가지가 섞여 이도저도 아닌 이상한 만화가 되어 재미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