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자의 인문학 - 돈의 흐름을 읽고 경제의 정곡을 찌르는
가야 게이치 지음, 한세희 옮김 / 문예춘추사 / 2022년 12월
평점 :
WHy? 인문학과 부의 크로스 오버
보통 인문학이라 하면 범주가 사람마다 다 다르다. 이 책은 목차를 보면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학, 경제학, 수학, 정보공학, 철학, 역사학이다. 보통 경제학이나 철학. 심리학적인 부분으로 부를 푸는데 반하여 정보공학, 수학까지 들어가 있어서 다른 책들과는 다른 관점을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면서 책을 들었다. 실제로 이 책은 부의 여러 가지 방면으로 바라보고 있다. 자동화(시스템화) 측면, 키워드적인 측면도 인문학적으로 해석을 하고 있어서 매우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WHAT? 어떤 점이 다른가?
보통 인문학 + 부의 책들과 다른 점들이 IT 입장에서는 여러 장점이 있는 책이다. 보통 '키워드''자동화' 이런 부분이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지 않다. 실제적으로 키워드로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 등까지 '정보공학'에서 통해서 소개하고 있다. 병렬처리에 대한 사고방식으로 확장되어서 위와 같은 사고방식을 권한다. 최근에 N잡러들이 아웃소싱 및 시스템화하는 마인드를 쉽고 직접적으로 표현해 줘서 이해가 쉽다.
HOW? 어떻게 더 생각을 달리해야 하는가?
이 세상은 직감으로 운 좋게 성공하는 사람도 있고, 운으로 성공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책을 많이 읽으면 읽을수록 결국 '고전 인문학'에 모든 해답이 있다. 우리는 그 사고방식을 항상 자신만의 행동 기준과 룰에 잘 적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 책은 그 시간을 단축시켜 줄 것이다. 매우 집약적이면서도 현대 흐름에 가장 잘 읽고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