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크는 인문학 15 : 빅데이터 - 빅데이터는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꾸고 있을까? 생각이 크는 인문학 15
정용찬 지음, 이진아 그림 / 을파소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스로 가치를 탐구하고,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을파소의 생각이 크는 인문학 시리즈..

열다섯번째
빅데이터가 출간되었어요. 

어느 날 쭝군이 "엄마, 빅데이터가 뭐야?" 라고 물어봤어요.
티비에서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등의 단어와 함께 많이 등장 하기도 하고,
책이나 학습 만화도 빅데이터란 주제의 새로운 책이 많이 출간되고 있기도 했기 때문이었는데요.
빅데이터.. 크게 어떤 것인지는 알겠지만 아이에게 설명해주려니 어디서 부터 어떻게 설명을 해줘야 할지 모르겠더라구요.

요즘 빅데이터라는 단어는 어렵지 않게 많이 들을 수 있어요.
빅데이터 시대라고도 하는데요.
데이터는 무엇이며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을까요?

생각이 크는 인문학 <빅데이터>에서는..
빅데이터가 무엇인지,
빅데이터가 우리 생활에 어떻게 사용 되고 있는지, 
빅데이터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빅데이터를 잘 활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어요.

                                                                  

 

1장. 알파고는 이세돌 기사를 어떻게 이겼을까요?
2장. 빅데이터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고 있을까요?
3장. 나는 네가 어젯밤 어디서 무얼 했는지 알고 있다!
4장. 거짓말, 새빨간 거짓말, 빅데이터
5장. 데이터를 보는 눈이 필요해

2년전 인공지능 컴퓨터인 알파고가 이세돌 기사를 이겨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사건이 있었어요.
알파고는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그 지식을 바탕으로 또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 이것이 이세돌 기사를 이긴 비결이었어요.

우리가 검색할때 몇 글자만 입력해도 그 글자로 시작하는 단어 중 사람들이 많이 검색한 단어를 순서대로 보여주는 것도 빅데이터를 이용한 것이죠.
메신저에서 대화를 나누고, 사진, 동영상을 교환하고,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것 모두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인데,
인터넷이 등장한 뒤 데이터 규모는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고, 형태도 다양해졌어요.
이렇게 대규모 데이터로 쌓인 것을 빅데이터라고 해요.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를 활용해 인터넷과 가까워질수록 어마어마한 규모의 데이터가 쌓이게 되고,
이 데이터를 활용하는 빅데이터 환경이 자연스럽게 생겨나게 되었어요.

빅데이터는 기업에서 고객의 의도를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전염병을 예측하고 교통 정보 데이터를 이용해 내비게이션의 길 안내 서비스에 이용한다거나, 심야버스의 노선을 결정하고, 질병의 치료, 범죄 예방등에 사용되고 있어요.
또 유전자 정보를 파악해 질병을 미리 예견한다던가, 화재, 산불, 홍수, 지진 등의 자연 재해 빅데이터 분석해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지요.

그런데 빅데이터가 좋은 점만 있을까요?

우리가 필요한 것, 좋아하는 것을 알아내려면 우리의 행동 하나하나를 데이터로 모아서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많은 다양한 데이터가 기록이 되게 되지요.
우리는 점점 취향에 맞게 추천해주는 것에 익숙해지고, 낯설고 새로운 경험으로부터 단절 되며 수동적으로 변하게 되진 않을까요?
그리고 인터넷으로 각종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유출이 될 가능성도 커지게 되지요.

빅데이터는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지만 잘못되거나 조작된 데이터가 많이 들어가 있으면 빅데이터로부터 정확한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 불가능해요.

대형 포털 사이트가 메인 화면에 실리는 기사를 재배치 하는 것, 광고비를 낸 업체의 홈페이지를 검색 화면 가장 위에 보여주는 것, 검색 순위를 조작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은 모두 가짜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것이죠.
또 해킹으로 정보가 조작, 유출된다던지, 인터넷 사이트가 접속이 되지 않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면 사람들의 신뢰를 잃을 수 있는데요.
가짜 뉴스나 가짜 데이터를 잘 구분해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킹과 블랙아웃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답니다. 

데이터가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해서 알지 못했던 사실이나 현상을 알아내는 데이터 과학이란 말도 생각나게 되었고,
그 일을 하는 데이터 과학자라는 직업도 생겨났다고 해요.

오늘 외출했다 돌아오는 길에 내비게이션에서 원래 다니던 길이 아닌 다른 길을 알려주었어요.
쭝군이 왜 오늘은 이 길로 가냐고 하길래 교통 정보도 모두 빅데이터가 되는데, 그 데이터를 분석해 덜 막히는 길을 알려준 것이라고
<빅데이터>를 읽었던 것을 같이 얘기하며 돌아 왔지요.
새삼 아주 가까운 곳에서 빅데이터가 쓰이고 있다는 것을 실감했답니다.

빅데이터로 인해 좋아할만 것을 추천받고, 자율주행 자동차가 만들어지는 등 우리의 삶은 변화 되고 있지만, 그로 인해 개인의 사생활과 개인정보는 끊임없이 유출 위협을 받고 있어요.
하지만 빅데이터 분석의 목적이 인간의 행복을 위해서라면 데이터 분석의 중심에 인간이 자리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장소] 2018-04-22 03: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보고 듣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