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삼국지 -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즐기는 신개념 삼국지
tvN STORY 〈신삼국지〉 제작팀 지음, 김진곤 감수 / 프런트페이지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국지>를 아느냐고 묻는다면 안다고 답할 사람이 아마도 열에 아홉은 될 듯 합니다. <삼국지>만큼 우리나라에 두루 알려진 중국 작품은 없다는데 누구도 토를 달지 못하겠지요. 물론  <서유기>, <수호지>, <공자>, <손자병법> 정도가 있긴 한데, <삼국지> 만큼 그 등장인물이나 사건들 혹은 사상을 섭렵하고 있지는 못할 듯 합니다. 하지만 또 <삼국지>를 ‘잘’아느냐고 묻는다면 어떨지…?


제가 처음 우애 좋은 삼형제, 유비, 관우, 장비를 처음 만난 건, 초등학교 저학년 시절에 텔레비전에서 방영했던 KBS 인형극 <삼국지>였지 싶습니다. 무대 아래쪽에 사람들이 숨어서 짝대기에 팔,다리와 머리 등이 달린 인형들을 조종해서 성우들의 목소리를 입힌 그런 인형극 말입니다. 


그리고 계몽사라는 출판사에서 나왔던 ‘어린이세계문학전집’. 뭐 이런 이름의 전집 류의 한 권으로 만난 <삼국지>는 인형극에 비해 접근성은 떨어졌지만, 삽화와 문장으로 그려내는 상상력이 주는 재미를 알아가던 시절의 색다른 즐거움을 주었던 기억입니다. ‘도원결의’, ‘적벽대전’ 이런 사건들이 뇌리에 콱 박혀버린 때가 아마도 이때였을 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중학교 즈음에 만난 <삼국지>는 PC게임의 모습이었습니다. 전략 시뮬레이션 스타일의 게임이었는데 직접 삼국지 속 인물들을 전략적으로 이용해서 게임을 진행해내는 남다른 쾌감이, 이전의 슈팅 게임이나 파이팅 게임들과는 다른 즐거움에 눈뜨게 해주었던 추억이 뭉게뭉게 합니다.


그리고 고등학교와 대학교 시절을 지나며 만났던 이문열 작가와 황석영 작가의 평역 버전과 고우영 작가의 만화 <삼국지>도 기억에 남는 삼국지들입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수많은 인물들과 세세한 사건들은 책을 덮을라치면 여지없이 휘발되어버린 걸로 봐서, 제게 <삼국지>는 잘 안다고 착각하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여러 버전을 흥미나 유행에 따라 읽거나 경험했지만 정작 그 깊이와 통찰을 가지기에는 작품 자체에 그다지 매력을 느끼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다 유튜브 컨텐츠로 이런 저런 ‘삼국지’ 를 만났지만 이내 싫증이 나곤 했는데, 우연히 아들과 보게된 침착맨이 썰을 푸는 컨텐츠는 일단 재미있고, 또한 인물과 이야기의 핵심을 딱딱 짚어주는 것이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새로운 삼국지였습니다.


그러던 차에 tvN에서 방영하는 <신삼국지>를 만났습니다. 인상적인 즐거움을 보증하는 침착맨이 진행을 하고, 패널로 배우 여진구와 강한나, 그리고 큰별 최태성이 함께 그야말로 ‘새롭게’ 삼국지를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게 해주는 <신삼국지>였습니다. 그 덕에 중간중간 자료화면으로 나왔던 중드 <삼국지>를 넷플릭스에서 찾아서 온가족이 1회 부터 정주행을 시작하게 했던 그 프로그램!


한회도 빼지 않고 어느 회차는 본방사수를 하며 봤던 그 프로그램이 책으로 태어났다길래 뭐 방송 내용을 재탕하는 거 아닌가 하며 약간의 우려와 나름의 기대를 가지고 책을 받아 들었습니다. 그리고는 앉은 자리에서 끝까지 다 읽어버렸습니다. 너무 재미있게 보았던 프로그램이 활자화되어 보여지는데 이게 상상력을 더욱 자극하고 TV에서 영상과 음향으로 전달받은 정보가 더욱 가지런히 읽혀져서 새삼 놀랐습니다. 더 재미있게 각색된 듯 느껴졌다고 하는 편이 맞겠습니다. 방송작가들의 힘이라는 걸 느껴버린 것이지요.

번외편 처럼 나왔던 마지막 회차의 ‘기묘한 삼국지’를 책의 마지막에 배치하면서 역시 잔재미를 놓치지 않는 센스까지, 너무 즐거운 독서였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는 책이었습니다. 물론, tvN의 <신삼국지> 시즌2를, 그리고 프런트페이지의 <신삼국지 2>의 출간을 기대하게 하는 ‘삼국지’. 그 매력적인 컨텐츠의 무한변신은 언제나 옳다 싶습니다. 



#신삼국지 #tvNStory #김진곤감수 #프런트페이지

#침착맨 #여진구 #강한나 #최태성 

#도서제공 #서평단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