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황모과 지음 / 래빗홀 / 2023년 8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황모과 장편소설 / 래빗홀
그 일은 일어나지 말았어야 했다.
p.7
소설의 첫 문장은 힘이 쌥니다. 이야기를 이끄는 인물과 사건들은 흥미진진하고 때론 아프지만, 이 첫문장에 복무하기 위해 달려갑니다.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는 제목 만큼이나 모순적이고 비현실적인 그날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올해로부터 정확하게 100년 전에 있었던 그 사건, 관동대학살. 그 역사적 사건을 모티프로 작가는 SF적 상상력으로 ‘일어나지 말았어야’할 사건으로 시간여행을 합니다. 네 개의 챕터와 네 번의 루프.
황모과 작가의 전작인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 또한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1990년을 기억하며 SF적 상상력에 묵직한 메시지를 담았고, 이번 신작도 비슷한 궤에서 민족적 아픔을 들여다보며 사유합니다.
아시아 홀로코스트 진상 규명 위원회의 민간인 학살 조사의 일환으로 13차 검증단으로 선발된 민호와 다카야라는 두 인물을 통해 한국과 일본을, 싱크로놀로지 시스템을 통해 역행한 세월은 역사의 아픔을 위무하려는 마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네 번의 루프를 통해 우리의 현재는, 그날의 진실은 어떻게 지어져왔고 지어져 가고 있는지 질문하고 있습니다.
“뭐 하는 거야?”
다카야를 보는 민호의 표정은 100년 전과 똑같았다. 다카야는 지난 100년 동안 곱씹던 순간으로 되돌아왔다. 민호는 마치 이 상황을 처음 맞는 것처럼 굴고 있엇고 다카야는 모든 것을 기억하고 있었다. 지난 세월을 온전히 기억하고 있는 다카야에게 형벌처럼 시간 루프가 반복되기 시작했다.
p.81
황모과 작가의 이야기의 힘은, 그저 상상력만이 아닌 성실함과 진심이 만난 생생한 취재가 바탕이기 때문인 듯 합니다. 그리고, 더 많은 이야기들이 ‘일어나지 말았어야’ 했던 역사를 이야기하고 그런 이야기들이 더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사라져버린 사람들, 그들은 말이 없지만 그 목소리를 들으려 해야 한다고, 기억해야 한다고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