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방스 여행 내 삶이 가장 빛나는 순간으로
이재형 지음 / 디이니셔티브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는 환승으로도 들러본 적이 없는, 나에게는 그야말로 미답의 땅이다. 하지만, 그곳의 책들, 영화들, 음악들, 사진들, 음식들, 어느 것 하나 매혹되지 않은 것이 없는, 미답의 땅이지만 로망, 그 자체인 곳이 바로 프랑스였다. 물론, 모두의 사랑, 파리는 말해 뭐하겠으며, 프로방스, 생각만 해도 그 산과 들, 오래된 거리와 건물들이 오롯이 떠오르는 그 도시들, 사람들의 흐릿한 이미지들이 일렁인다.


본능을 따라 일탈로 오른 파리에서 아를로 향하는 기차가 떠나면서 이 책, <프로방스 여행 - 내 삶이 가장 빛나는 순간으로>(이하 <프로방스 여행>)가 시작한다. 이 부분이 여느 여행책과 크게 다른 지점이다 싶다. 나에게 거의 30년 째 살고 있는 서울이란 도시가 오히려 고향 같아진 지금도, 오래 전 떠나 온 시골 고향 땅의 들과 구름과 산, 강들이 그립고 안쓰럽고 무작정 되돌아가고픈 곳이듯, 이 책은 도시들을 지나치고 그 곳의 여러 모습들을 바라보는 내내, 내 마음을 흔들었다. 


그렇게 도착한 프로방스의 아를, 나는 작가가 운전하는 구형 시트로엥 조수석에 앉아 작가가 들려주는 도시들의 이야기에 흠뻑빠져서, 어느새 프로방스의 거리거리를 서성이고 있단 착각이 든다.


누구나 사랑해 마지않는 화가 고흐와 함께 거니는 '아를', 여느 항구를 끼고 있는 도시가 그러하듯 문화, 종교, 사람들이 복잡다양하게 반목하고 화합해낸, 피에르 퓌제와 마르셀 파뇰, 르 코르뷔지에를 만날 수 있는 '마르세유'. 

생트로페 지역에 이르르면, <어린 왕자>의 '아게', 르누아르의 '카뉴쉬르메르', 피카소의 '앙티브', 마티스와 샤갈의 '니스', 골목길 '생폴드방스', 니체의 '에즈', 가죽과 향수의 도시 '그라스', 세잔의 '엑상프로방스', 아, 엑상프로방스! 

그리고, 뤼베롱의 언덕을 오르면, 카뮈의 '루르마랭', <지붕 위의 기병>과 <어느 멋진 순간>의 '퀴퀴롱', 로마다리 '보니유', 당과 생각에 입맛을 다신 '압트', 내 인생 최애 <나무를 심은 사람>의 작가 장 지오노의 '마노스크', 너무 부러운 독립서점 '르 블뢰에'가 있는 '바농', 도자기 만들기 체험 예약하고픈 '무스티에생트마리', 부조리극의 대명사 <고도를 기다리며>의 작가 사무엘 베케트의 '루시옹', 피카소와 도라 마르의 사랑과 이별의 '메네르브', 올리브나무와 라벤더가 펼쳐진 세낭크 수도원의 '고르드'.

여전히 중세에 머무른 듯한 '아비뇽'에서 만나는 퐁뒤가르, 애닲은 카미유 클로델, 아비뇽 교황청.


그렇게, 다시 오른 파리행 야간열차. 

어느 부분 하나도 놓치고 싶지 않은, 프로방스. 가만히 눈을 감으면, 그 어느 작은 마을 식당에서 내어주는 지역 와인에 곁들인 부야베스로 배 부르고, 흥도 오른 시간들을 떠올린다. 그리고, 그 야간열차가 파리에 도착하자마자, 다시 프로방스의 도시로 가는 열차표를 예매할 결심을 할 듯 하다. 

다음 번엔, 아비뇽에서 차를 빌려서 내가 운전하고, 조수석엔 이 책 <프로방스 여행>의 마지막 페이지를 펼쳐두고, 느릿느릿 반대방향으로 프로방스를 여행하고 싶게 만드는 책. 가끔 서울의 삶에 지치고 향수병이 도질 때, 이 책의 아무 페이지라도 펼쳐볼 작정을 하게 만드는 책이다.

 

가본 적 없지만, 마냥 그리운 그 곳, 프로방스로 초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