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의 아이 공부 - 인문 고전으로 하는
오승주 지음 / 글라이더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 고전으로 하는 아빠의 아이공부이지만

엄마가 먼저 읽고 아빠에게 권하는 책!! 이란 소갯말에 주저없이 골라봤어요



우리 부모들은 아이를 키울 때 책을 많이 읽어 '책 육아'라는 말도 있습니다만, 어떤 책을 읽는가가 중요합니다. 육아서를 처음 읽을 때는 매우 설득력 있고, 책에 적혀 있는 대로만 하면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 것 같지만 지속적이지 않습니다. 육아서가 아이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까닭은 '아이'라는 존재가 육아서로는 도저히 담을 수 없을 만큼 깊고 넓기 때문입니다. 아이는 인문학의 눈으로 보아야만 제대로 볼 수 있는 존재입니다. 아이의 말을 진지하게 곱씹으며 들으면, 사소하지만 큰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문 고전을 읽듯이 아이를 읽는다면 자녀 교육의 새로운 지평이 열립니다. 아이가 곧 인문학 입니다.




음....

책육아하는 사람? 저요???

그래서 육아서 백몇십권을 읽고도 계속 찾아 읽은것일까요?

아이라는 존재가 육아서로는 도저히 담을 수 없을 만큼 깊고 넓어서?


철학을 전공하신 작가님은 자녀 교육과 전혀 상관 없을 것 같은 인문 고전이 사실은 아이의 비밀을 들여다볼 수 있게 하는 핵심적인 열쇠라고 합니다.

작가님과 아이 사이에 있었던 일과 아이의 말을 인문 고전의 많은 책의 구절과 대조하며 책을 펼쳐내셨어요.


동서양의 많은 고전들이 등장을 해요.

제가 읽은 책들도 있었지만 아직 부담스러워서 못읽은 동양 고전도 많이 있더라구요.

인문 고전에 대한 목마름과 부담이 늘 공존했거든요...

내년에는 책에 인용된 책들부터 조금씩 읽어보려구요.




 







 

마음에 크게 다가왔던 부분들

 

 

 






각 챕터의 마지막에는 Q/A고너가 있는데요... 하나같이 훌륭합니다.

많은 여운을 남겨주는 Answer

 

ㅎㅎ 고전과는 먼 사람이다보니 ㅎ 한번씩 한숨이....


 


이 부분이 저의 Best랍니다~~

아이에게도, 엄마에게도 아빠에게도 저런 취미는 다 있어야 할 것 같아요.


 


영원한 숙제~~~

 


 


엄마, 아빠의 많은 공부가 필요해 보이더라구요



2018년은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부터 시작해서 인문 고전을 좀 읽어보려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