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는 어떻게 태어날까? 담푸스 지식 그림책 5
페르 홀름 크누센 지음, 정주혜 옮김 / 담푸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기가 어떻게 태어나는지 알려 줄까?

누구한테나 엄마랑 아빠가 있다는 건 알지?

아기가 태어나려면 엄마랑 아빠랑 힘을 합쳐야 해.

엄마, 아빠가 언제나 아기와 함께 사는 건 아니야.

하지만 아기는 엄마 아빠 두 사람이 있어서 태어난 거야.



 

맨 뒤에 작가의 한 줄


" 이 책은 아주 평범한 그림책이에요. 특별할 때만 꺼내 보는 책이 아니라 언제나 가까이 두고 보는 책이요."


-페르 홀름 크누센(심리 치료사 및 성 연구가)



<아기는 어떻게 태어날까?>는 1971년에 처음 출판되었대요.

그때부터 이 책은 수많은 부모가 자녀에게 읽어 주고, 그 자녀들도 자라서 자신의 자녀에게 읽어 주는 책이 되었습니다.


그럴 수 있었던 건, 이 책이 아이가 태어나기까지의 과정을 솔직하면서도 따뜻하고 간단 명료하게 전달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조금은 아니 좀 많이 충격적이었던 책이었어요...

다운이가 뱃속에 있을때 우화처럼 표현한 동화를 읽은 적이 있었는데 이렇게까지 사실적이고 구체적일 거라고는 생각을 못해봤기 때문이겠죠?

작가는 우리와는 다른 마인드로 살고 있는 덴마크인이며 전문 심리 치료사/성 연구가시다 보니


Culture Shock


책 소개에서도 나오더군요...

우리 나라 어른들은 성교육을 부끄럽게 여긴다고. 그러나 성에 대해 올바르게 교육 받지 못한 아이들은 호기심에 인터넷을 포함한 각종 매체를 통해 무분별하고 잘못된 방식으로 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되고, 이는 왜곡된 성 인식을 갖는 원인이 된다. 어렸을 때부터 올바른 성교육이 중요한 까닭이다. 작가는 사랑을 바탕으로 한 관계가 얼마나 행복하고 즐거운 일인지 솔직히 얘기하고 아이가 태어나는 과정을 간단하면서 따뜻한 시각으로 전달하고 있다구요...


맞는 말이긴 하지만 여전히 부담은 된다면서...그래도 사랑하는 내 아이를 위해 넘어야 할 산! 맞겠죠?


 


 


아기가 있네.

이 아기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여기 엄마랑 아빠가 있어.

이 두 사람이 아기를 낳을 거야.

 


아빠랑 엄마는 서로 사랑해.

그래서 뽀뽀도 하지.


두 사람은 고추를 질에 넣고 싶어져.

재미있거든


성교를 신나고 멋진 일이야.


아기를 만들기 위해선 성교를 해야 돼.

하지만 성교를 한다고 무조건 아기가 생기는 건 아니야.

그렇기 때문에 엄마랑 아빠는 아기를 만들고 싶을땐

더 정성스럽게 사랑을 나눠



아빠의 고환에는 아기가 될 정자가 아주 많은데,

엄마랑 아빠가 성교를 하면 아빠 고추에서 정자가 나가.

정자는 질을 헤엄쳐서 엄마 배속의 작은 방으로 가.

자궁이라고 부르는 방이야.

자궁에는 난자라는 작은 알이 있을 때도 있어.


 


두 사람은 재미있었다고 생각해.


정자 한 마리가 자궁 안에 있는 난자를 발견해서 들어가려고 해.

엄마랑 아빠는 아직 모르고 있어.

 

 

 


정자랑 난자가 만나면 수정란이라는 동그란 알이 되거든.

이 작은 알이 아기가 되는거야.


아기가 자라서 작은 꼬리가 생겼어. 짧은 팔과 다리도 있네.

 


아기에겐 작지만 눈도 있고, 귀도 있어.

아기가 커지면 엄마 배도 같이 커져.


 

정자랑 난자가 만나서 수정란이 된지 아홉 달이나 지났네.

이제 아기는 밖으로 나와도 될 만큼 자랐어.

엄마는 아기가 보내는 신호를 알아.


"곧 아기가 태어날 거야. 빨리 만나보고 싶다."

엄마가 아빠에게 말하는게 보이지?

 


엄마랑 아빠는 함께 병원에 가

의사 선생님이 와서 아기 낳는 걸 도와줄거야.

 

엄마가 아기를 낳기 시작했어.

엄마의 질을 통해 아기 머리가 나오는 게 보이지?


 

아기는 이렇게 태어나는 거란다~~


여러분이 그러시더군요...이 책을 펼쳐본 부모는 놀라지만 아이는 그닥 놀라지 않는다구요...

아이들은 오히려 엄마 아빠의 몸을 좋아하잖아요 ㅎㅎㅎ

언제나 가까이에 두고 보는 책이라니!!! 좀 어렵겠지만 시작이 반!

그림책을 함께 보면서 너를 낳기 전에 엄마 아빠가 몸도 건강하게 만들고, 뱃속에 있을때 이쁜 것만 먹고, 좋은 생각만 했다는 이야기, 모차르트를 많이 들었다는 둥 엄마 아빠의 사랑을 충분히 전해줄 꺼리도 많은 것 같아요.


제대로된 성교육을 해줌으로써 아이가 왜곡된 시선이 아닌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도 있을 것 같구요.



우리 문화와는 다르지만 시대가 급변하다보니 미리미리 준비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곧 다운이도 묻겠죠?

엄마?? 아기는 어떻게 생기는거야??

엄마 준비 완료!!!!

마음만 준비하면 되는걸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