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나리자 미소의 법칙 - 83퍼센트만 행복하라!
에드 디너, 로버트 비스워스 디너 지음, 오혜경 옮김, 서은국 감수 / 21세기북스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행복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이 읽어보아할 할 책인듯 싶다.
책 두께에 비하여 내용은 많은 것 같지 않다. 그렇게 그냥 느끼고 싶은 것일지도 모르겠으나 아무튼 그렇게 생각한다. 책 두껍기로만 보면 한숨만 나올뿐이닷. 하지만 읽기 시작하면 그렇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다. 어떻게 생각하면 누구나 행복해 지고 싶어하고, 또 어떻게 생각하면 그런 행복에 대해 알고 있을 수도 있다. 다만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부와 행복의 관계도 설명되어져 있다. 저자는 부유국가의 잘사는 사람들이 빈민국의 사람들에 비해 행복하다고 한다. 예전에 언론에서 본 것은 그것의 반대였는데 암튼 헷갈리는 부분이었다. 행복은 목적이 아닌 과정이라고 하면서 등산객의 한 예를 설명해 주었다. 정상에 오르는 것이 목표였던 적은 없고 오르는 과정이 목표였다고 한다.
삶의 만족도는 결혼하면서 급등하는데 항상 급등할수 만은 없는 듯하다. 급등하고 난 이후에는 다시 평균적으로 되돌아 온다는 것이다. 가까운 사람의 죽음에도 괴롭고 슬프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시 평균적으로 돌아온다고 한다. 우리는 지인들과 연락을 하면서 정말 책에서 이야기 하는 대화를 하는 듯 하다. "뭐하냐" "어디야" 등등 연결되기를 원한다고 한다. 그러한 관계가 중요한 것 같다. 사랑과 행복의 관계 자녀와 행복의 관계, 직장에서의 행복도 나온다. 직업인식에 대한 내용에서 생업, 출세, 소명 3가지 방법의 인식으로 일하고 있는데 과연 어떤마음으로 일해야 하는가?? 몰입은 활동이 제시하는 도전과 기술이 조화를 이룰때 일어난다고 한다.
행복=우리가 가진것(달성한것)/우리가 원하는 것(열망)
이 공식이면 딱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 무엇을 믿는자가 더 행복하다고 한다. 무교인 난 어쩌란 말인가. 스스로를 믿는 것으로 위안삼을수 밖에 없다. 행복한 사람이 성공할 확률도 높다. 그렇다고 완전 100%의 행복보다는 80%정도의 행복이 좋은 것이다. 시간이 흐르는 동안 어떤 새로운 조건이든 적응하는게 인간이다. 그래서 삶의 만족도도 평균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행복에 주의를 기울이고 해석하라는 부분에 내 눈앞의 고릴라 부분은 예전에 내가 경험했던 적이 있어 읽는데 웃음이 나왔다. 불행의 주된 원인은 사회적 비교를 지적한다. 스스로의 도전으로 83% 모나리자 미소를 가지수 있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