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까다롭지만 탈 없이 배우는 중학 물리
강태형 지음 / Mid(엠아이디) / 2023년 10월
평점 :
중학교 물리학의 내용으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내용들도 있어 개념 정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다. 물리라고 하면 어렵게만 느껴졌었다. 이 책을 통해 조금이나마 물리와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문제의 답이 마지막에 있는 것은 조금 아쉬웠다. 읽으면서 답을 확인하려니 불편한듯했다. 물의 어는 점은 0도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것은 불순물이 섞여 있는 물이고, 순수한 물은 약 -48.3도가 되어야 얼기 시작한다고 나온다.
마찰력과 관련한 내용에 레이싱카의 트레드 패턴이 없는 슬릭타이어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한 답은 타이어가 녹아서 도로에 달라붙게 하기 위해서이다. 마찰력이 높으면 빨리 달리는데 방해가 될 것 같은데 자동차의 성능으로 커버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색상 타이어를 만들 수는 있지만 금방 더러워지기 때문에 현재의 검은색 타이어가 대부분이란 것을 다른 책에서 읽었던 기억이 있다.
기체의 내용 중, 비행기에 구멍이 나면 이란 문제가 나온다. 영화에서 보면 밖으로 빨려 나가는데 답은 귀가 아프고 춥기는 하지만 멀쩡하다. 오히려 상공에서는 산소 부족에 대한 문제가 심각할 수 있다고 한다. 압력 차이로 인한 폭발사고는 해양 잠수 시 가끔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디젤 엔진엔 점화플러그가 없고, 공기를 압축하여 생긴 열로 흡입, 압축, 폭발, 배출을 한다. 겨울에 디젤엔진의 시동이 가끔 안 걸리는 현상은 예열 플러그의 성능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가솔린 엔진엔 점화플러그, 디젤 엔진엔 예열 플러그(압축 착화)가 필요하다.
빛의 파동과 관련하여 노을이 빨간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이다. 가끔씩 붉게 물든 노을을 볼 때 그냥 자연이 아름답구나만 생각하는데 다음에 볼 때는 빛의 산란 때문임을 생각해 보아야겠다.
운동과 에너지 부분에 속력과 속도에 대해서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차량의 계기판을 보통 속도계라고 하는데 정확하게는 속력계로 표현해야 한다. 시속(km/h)은 속력의 단위이다. 어디로 이동을 할 때 얼마의 속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고, 이동이 끝난 후에는 평균속도 몇으로 왔다고 하면 되는 것이다.
p.9
물리학을 중학교 교육과정에 맞추어 장을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물리학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지구과학, 화학, 생명과학 이야기도 '과학 노트'라는 이름으로 첨가하였습니다. 물리학으로 속을 썩는 분들에게 좋은 약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p.294
산란은 파동(빛)이 매질(대기)을 지나갈 때 매질의 불균일성 때문에 경로를 벗어나는 것입니다.
p.401
속도는 벡터이고 속력은 스칼라입니다. 벡터는 방향과 크기가 있는 것이고, 스칼라는 크기만 있습니다.
자동차 계기판에 나오는 것은 속력입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