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 상처에서 치유까지, 트라우마에 관한 24가지 이야기
김준기 지음 / 시그마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뭐 저런 사람이 다 있나'  이유없이 공격적이고 신경질이어서 일단은 그를 외면하기도 하고 왕따시키기도 한다. 저자인 김준기씨는 24편의 영화를 통해 아파하는 영혼을 탐색해 간다. 왜 그들은 그런 행동을 하는걸까. 치유책은 없는 것일까.
 
저자는 사람이 하는 행동 하나하나가 1.4kg에 해당하는 뇌가 조절하고 있다는 점, 뇌의 편도체가 지나치게 계속적으로 활성화되면 불안하고 두려움 속에서 충동적인 행동들이 나온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러한 현상을 '트라우마'로 지칭하며 너무 무섭고 두려운데도 피할 수도 대처할 수없이 꼼짝없이 당하게 되는 압도적 상황이라고 정의한다. 이런 증상을 우리말로 '恨'이라고 하면 어떨까.
 
트라우마는 특히 과거에 현저한 심리적 고통을 수반한 경우에 나타난다고 한다. 어렸을 때 성폭행, 부모의 죽음, 부모 이혼으로 인한 애정결핍, 어느날 갑자기 사고로 인한 가족의 죽음, 전쟁을 통해 많은 주검을 목격한 경우, 끊임없는 스트레스 가중 등 그 원인들은 우리 주변에 널려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그냥 무의식속에 묻어버리고 억누르며 살아가고 있을 뿐이다. 넓게 말하면 트라우마가 없는 사람은 없지않을까 생각한다.
 
문제는 이렇게 서로 하나쯤은 자기만의 트라우마를 갖고 사는 사람들끼리 외면하고 산다는 점이다. 서로를 깊이 이해하기를 포기한다. 각자 알아서 해결하라고 한다. 그래서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한다. 모든 현상들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기 일쑤다. 그러면 치유책은 무엇일까
 
저자는 먼저 충분한 안전감을 갖고 트라우마 기억을 처리하라고 한다. 트라우마도 사회적 연결을 통해 긍정적으로 복구해야하는데, 이때 소통의 고리 역활을 하는 우리 뇌안쪽의 변연계의 작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어린시절의 안정적 애착관계가 중요함을 역설한다. 존 보울비가 주장한 '애착이론'(2009년5월 나남출판)도 참조할 만하다. 어렸을 때 사랑을 듬뿍 받은 아이일수록 왠만한 트라우마는 쉽게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책을 통해 사람에 대해 이해의 폭이 깊고 넓어진 느낌이다. 어찌보면 우리들 모두는 아픈 영혼들이 할 수 있다. 아픈 영혼을 가진 사람들사이 서로 치유해주고 보살핌을 줄 수 있다면, 사회적 트라우마 현상은 없어지지 않을까, 요즘처럼 경제적 정신적으로 힘든 상황에서는 저자말대로 "누구 때문이 아니라, 누구 덕분에" 잘 되었다고 긍정적인 마인드가 필요한 시점이다. 다시한번 서로를 믿고 이해하고 배려해주는 소통의 사회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