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 윈프리의 시대 - 대통령을 만든 미디어 권력
제니스 펙 지음, 박언주.박지우 옮김 / 황소자리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요즘 신문, 방송을 보기가 두렵다. 연쇄살인범 뉴스로 오싹하게 하고, 청년 실업이야기는 어제 오늘이 아니고, 앞으로도 대량 해고와 파산이 있을 회사가 얼마가 된다고 하며, 서민들은 먹고 살기 힘들다는 하는 아우성이다. 이런 경제상황에서도 한쪽에서는 흥청망청 돈을 써대고 잘 먹고 잘 사는 사람도 있다는 점이다. 침체된 경제를 살린다는 명목으로 규제완화와 대규모 하천공사를 추진되고 있지만, 우리 경제 역시 살아날 기미는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미국 경제의 한파가 우리 경제에 엄청난 타격을 준다는 점이 느겼지는 대목이지만, 우리 경제가 안일한 대처와 해법을 찾지 못하는 이유가 클 것이다. 미국은 최초 흑인 대통령을 오바마를 탄생시키며 경제회생과 재기를 노려보지만 아직까지는 쉽지는 않는 모양이다. 우리나라가 경제 도약을 위해 CEO출신 이명박 대통령 당선에 기대를 가졌지만, 아직까지 전과 크게 달라지는 않은 것과 마찬가지다.  
 
[오프라 윈프리의 시대]는 단순히 윈프리 그녀의 성공담만을 다루는 책은 아니다. 오히려 미국의 정치, 경제, 문화, 언론의 현상과 역사적 관점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윈프리의 성공담이 단순히 그녀만의 노력만이 아니라, 미국의 정치, 경제적 전략 - 신자유주의와 잘 맞아 떨어져 성공할 수 있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신자유주의는 케인즈 경제학이 아닌 신고전학파의 시장경제논리에 따라 보수적 정권의 입맛에 따라 추진된 정책이다. 놀란만한 점은 우리가 진보정권으로 알고 있는 클린턴 민주당 정권마저 미국의 국익과 민주당 재집권을 위해 신자유주의 정책을 계속 추진했다는 점이다. 신자유주의 정책은 실업문제는 별 신경쓰지 않고 물가안정을 최우선으로 이윤극대화만 추진한다. 이 것은 고용불안정을 초래하고, 국민 대다수인 중산층의 붕괴와 사회불안의 요소가 된다는 점이다. 복지정책은 가난한 사람의 도덕적 해이만 낳고, 자립심에 장애를 준다는 명분으로 축소하지만, 그들을 계속 사회와 격리만 초래하게 한다. 이런 상황인데도 한쪽에서는  세계화와 개방이 대세이니 적자생존의 논리로 경쟁을 즐기라고만 한다. 처음부터 공정한 경쟁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가난하고 없는 자는 진정한 경쟁력이 나올리 없는데도 말이다.
 
저자가 윈프리를 혹평하는 이유도 분명하다. 개인적 노력도 있었지만, 소수자와 가난한 자에 대한 우대 혜택을 받아 기회를 잡은 윈프리가  사회구조의 객관적 불안현상을 개인과 가족 가치의 타락이라는 주관적 결함으로 무책임하게 돌리거나, 윈프리의 북클럽도 시장의 특정계층을 겨냥하고, 자신의 브랜드화만 촛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윈프리가 강조하는 심리학적 수양이라는 것도 사회질서 유지와 진보라는 과업을 수행하는 관점의 자유주의적 정치철학 입장이라는 것이다. 가난하고 없는 사람에게 사회에 수긍하고 열심히 살아야 성공할 수 있다는 허울좋게 암묵적으로 세뇌시키면서 사회동요를 잠재우고 가진자와 지배층은 계속 경제적 부를 가져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요즘 서민들은 희망보다 절망에 가까운 하루 하루를 살아간다. 마땅히 돈벌이도 없고, 있어도 비정규직, 용역직으로 불안한 고용생활을 하고 있다. 제대로 된 노동권 주장은 할 수도 없고, 눈치만 살핀다. 그나마 갖고 있던 일자리라도 보전하기 위해. 그래도 뒤돌면 막막하고 한숨이 절로난다. 사교육은 꿈도 못 꾼다. 한달에 400~500만원 학원비를 지출한다는 대치동 사람들 이야기를 들으면 딴나라 같다. 공교육을 살리자는 학교선생님들도 아이들 학교 수업만 집중할 수 없는 잡무만 많다고 하소연한다. [오프라 윈프리의 시대]는 미국 이야기만은 아닌 듯 싶다. 우리의 일그러진 사회 단면을 보는 것 같고, 우리가 어떻게 촛점을 맞추어 정치, 경제, 문화영역을 이끌어 가야할 지 생각하게 한다. 개인은 일자리가 없으면 살아갈 수 없다.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 중산층 서민들의 불안은 곧 사회 갈등으로 이어지기 쉽다. 자포자기한 사람들은 오히려 두려울 것도 없어진다. 다같이 잘 살 수 없다는 구조라고는 하지만, 최소한의 평등한 여건과 기회보장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국경제가 파탄난 모습속에서 우리의 미래를 찾아야 할 지혜를 가졌으면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