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의 과학 - 미인 불패, 새로운 권력의 발견 과학전람회 9
울리히 렌츠 지음, 박승재 옮김 / 프로네시스(웅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1. 책이야기 먼저
 
[아름다움의 과학]은 사람들의 추상적인 사고영역을 과학적으로 접근해보는 인문과 과학의 경계선상의 문제를 다룬 책이다. 저자가 일반교양인을 상대로 책을 썼다고 해도 처음부터 읽기에는 여간 부담스러운 책이 아니다. 큰 목차는 네 부분으로, 세부 목차는 열 여섯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나역시 책장을 넘겨가면서 읽기에 난관에 봉착하고 말았다. 책의 반절이상 앞부분에서는 美에 대한 많은 학설과 실험, 연구결과들이 무수한 학자들과 함께 등장하기 때문이다. 자칫 책의 흐름을 놓칠 수가 있다. 개인적으로는 책을 역으로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으리라 본다. 학술서 성격도 띠고 있는 책이라, 저자의 주장과 결론적 이야기를 먼저 이해해두고, 그 논거와 주장들을 살펴보는 것이 오히려 이 책을 밀도감있게 보는 방법일 것이다.
 
 
2. 책 내용에 관해
  
먼저 14~15장은 아름다움과 관련한 문제제기 부분으로, 오늘날 美에 대한 광기수준에 주목한다. 너나 할것없이 젊고 날씬하고 예쁘게 보이려고 난리다. 꼭 결혼,취업을 목적이 아니더라도, 자신감 차원에서도 성형을 마다하지 않는 실태다. 문제는 이런 美의 추구가 미디어나 미용집단에 의해 변질되고 있는 점이라고 한다. 그래서 저자는 1장과 11장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역사적 조명을 하고 있다. 태초의 인간부터 고대 중세 르네상스 현대를 거쳐 어떻게 변천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8장부터 10장에서 본격적으로 도달적인 화두를 던진다. 아름다움은 타고난 축복이고, 아름다움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사소한 혜택부터 권력적 속성까지도 있음을 지적한다. 따라서 태생이 스스로 돕지 못했다면 예뻐지려고 노력하라고 한다.(젠장) 그렇다면 아름다움의 기준은 무엇이고, 아름다움의 존재이유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이제부터 우리는 책의 앞부분을 정성껏 넘겨볼 수 있다. 2장의 아름다움의 조건으로 평균과 대칭, 앳됨(동안), 성숙미, 표정들을 열거하고 있고, 몸매에 대한 시각의 변천이나 엉덩이, 가슴, 작은 발, 금발머리등에 이야기도 나온다. 물론 총체적으로 아름다움의 조건도 제시하고 있다.(p75~77)  다음으로 등장하는 아름다움에 대한 존재이유는 5장부터 8장에 걸쳐 학설도 많이 나누어져 있고, 견해대립도 심하다. 그러나 간단히 정리해보면 유전적 진화적 측면으로 다룰 것인가 아니면 뇌의 지각편애에 따른 감각적 즐거움으로 볼 것인가로 대립한다. 전자의 견해인 진화론적 견해에서도 좋은 vs 나쁜 vs 적합한 유전자 가설로 다시 나누어진다. 개인적으로는 최악의 상대를 만나지 않기 위해 아름다움을 갖는다는 이론에 호감이 간다. 매번 선택의 순간이 오면 최고 최상의 선택을 한다면 금상첨화겠지만. 나는 최악의 리스크만 피한 선택이면 만족한다. 그렇게 하면 선택의 폭도 넓어지고 융통성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책에 자주 인용되는 핸디캡이론과도 크게 모순되지 않게 된다고 생각된다.
 
3. 결론에 다다르며
 
美의 기준이 사람마다 다르고, 하물며 이를 객관화 시킬 수 있느냐의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 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저자는 사람들의 美에 대한 공통분모를 찾고자 했고, 아름다움이 갖는 속성도 파헤쳐 본다. 잘 생기고, 예쁘다며 당장에 나를 칭찬해도  싫어하는 사람은 별로 없듯이 아름다움이 갖는 자신감, 친밀감이 플러스 요인인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아름다움 자체를 추구하는 자체는 비난할 바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문제는 태초에 순수한 마음으로 새롭게 자신을 꾸미고자 했던 놀이수준이 사회가 발전하면서 미용관련 이해집단이 돈과 권력과 결탁하고 추잡하게 이를 변질시켰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자는 아름다움 자체를 부정하지도 말고, 또한 아름다움에 지나친 집착하는 것도 하지 말기를 바란다. 아름다운 어떤 것도 영원할 수 없기에 우리는 그 것을 사랑하는 것이다. 이렇게 아름다움의 정체를 알게되면 우리의 정신적, 육체적 삶은 더욱 풍요롭고 행복해질 것이다. 참고적으로 최근에 조용진교수의 [미인]이라는 책이 나와 있는데. 미학적 기준은 물론 해부학, 인류학, 도상학, 사회학적으로 미인의 실제를 과학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가격대비 너무 비싼게 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