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패러독스 1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들어가며
 
흥미로우면서도 쉽지 않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하려니 망설여진다.
책을 읽는 행위인 '독서'의 대상인 책이 수만종에 이르고, 독서의 주체인 개인의 성향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가 최소한 선을 긋고 생각해야 하는 부분이 이 많은 책을 다 읽지 못한다면 어떻게 독서를 전략적(?) 실천적으로 해야할 지가 문제로 대두된다.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의 제목처럼 단순히 책읽기 자체를 포기하자는 말은 아닐 것이다. 역설적으로 이 정도로 되려면 책을 바라보는 안목이 고수의 수준에 있어야 할 지도 모른다.
 
2. 그럼 뭐야 !
 
저자가 말하는 독서의 반대편의 '비독서'의 개념에는 책을 전혀 읽지 않은 것 뿐만아니라 대충 읽은 것, 귀동냥한 것, 읽었어도 잊어버린 것까지 포함해서 해석한다. 저자가 이렇게 폭넓게 '비독서'의 범위를 잡는 이유는 보다 진지하게 독서의 진정한 요소를 찾고자 하기 위함이다. 즉 책 자체나 독서행위 자체보다 책을 매개로 (읽었던, 읽지 않았던) 끊임없는 자신의 내면을 자극하고, 창조하고, 떳떳하게 자기 생각을 얘기 하는 것을 중요시 하자는 것이다. 왜 이렇게 저자는 단언할 수 있었을까?  '책'자체는 작가의 사회적 지위나 위치에 따라 유동적이고, '독서'역시 책을 읽을수록 또다른 기억의 점진적 소멸의 장소로 옮겨가는 행위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렇듯 모든 것이 유동적이고 불확정적인 상황인데, 책을 읽고 안 읽고에 뭔 큰 차이가 있느냐 하는 것이다.
 
3. 그럼 어떻게 하라고?
 
따라서 독서하지 않았다고 부끄러워 하지도, 죄의식을 느끼지도 말라고 조언한다. 책을 총체적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그리고 자신의 내면의 울림을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의문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총론적 시각에는 동의하는 바도 있지만, 좀 더 깊이 들어가면 아무런 바탕없이 이런 시각이 가능할런지 묻고싶다. 매일 쏟아져 나오는 책을 다 사서 읽을 여력도 없지만, 그래도 관심있는 책은 당장에 읽지 못하더라도 사놓고 봐야한다. 그리고  최소한 매주 발행하는 신문의 책소개나 북칼럼을 통해 끊임없이 확인해야 하고 읽어나가야 한다. 리뷰쓰기에 앞서, 이번 주 북칼럼에 히라노 게이치로의 '책을 읽는 방법'이라는 책이 소개되어 있다. 이 책은 천천히 읽는 슬로리딩(遲讀)를 강조한다. 솔직히 지독(遲讀)의 단계는 초보단계에서는 문제가 있다. 천천히 읽는 이유는 생각을 많이 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어느 정도 기존의 독서량이 있어야 생각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조언자들은 처음에 관심있는 부분부터 많이 읽는 게 중요하다고 한다. 그리고 영역을 확장하고 다양하게 접근해서 책을 읽거나, 어느 한 저자에 대한 전작주의도 괜찮다. 다만 이 수준을 넘으면 적게 읽고 많이 생각하며 많이 글을 써보는 게 좋다고 한다. 그리고나면 이제 어느 책에 대해 읽지 않아도 말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으려나 생각되는데...아무튼 말을 해보고 글을 쓰다보면 그동안의 머릿속에 뒤죽박죽 되어 있던 내용들이 정리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나아가 사고의 확장과 창의적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위대한 철학자 쇼펜하우워도 일찍이 "책을 읽지않고도 그 내용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했다. 그 방법론은 양서(良書)를 읽고, 악서(惡書)를 읽지 않는 것이라고 하는데. 양서는 고전을 말하고, 고전을 많이 여러번 읽어야만 이런 능력이 키워진다고 한다.
 
4. 마무리하며
 
책속에 활자화된 다른 사람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자신의 말로, 또는 글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인재의 조건인 번역능력이다. 책을 읽던 안읽던 지식과 경험에서 오는 자극을 자신에게 어떻게 치환할 수 있느냐가 관건인 것이다. 그렇다면 실천적인 요소가 필요하다. 옛 선인들은 공부를 하더라도,책을 읽더라도 순서를 정해서 했다. 먼저 인간의 도리 (효, 제)를 가르치는 공부부터 시작했다. 독서의 순서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대목이다. 또한 독서의 방법론에 있어서도, 한갓 책을 읽어치우는 '도능독(徒能讀)'도 경계하며, 속독, 정독,지독 어느 하나에만 얽매일 것도 없다.  무엇보다 책의 수준, 자신의 역량에 맞추어 독서법도 찾아보고, 책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이 더욱 중요하다. 사족이지만 이번 도서가 주제나 내용이 괜찮은 책임에도 번역이나 책의 편집, 책의 크기에서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