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서평단 알림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고든 뉴펠드 외 지음, 이승희 옮김 / 북섬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두아이를 키우면서 자식에 대한 걱정은 하루가 멀지않다. 큰 아이는 올해 유치원을 마치고 내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되지만, 작년에 동생이 생기면서 심적인 상처를 많이 입은 것 같다. 요즘에는 소리도 지르면서 반항하기도 하고, 시켜도 못듣은척 무시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생각해보면 그동안 집안에서 장손자라고 할아버지,할머니, 삼촌들이 워낙 예뻐해주었는데, 갑자기 큰 경쟁상대가 생겼으니, 그리고 동생한테 양보할 것도 많고, 어린 동생과  싸우는 것도 격에 맞지않아 판정패 당하는 경우는 허다하게 되었다. 그래서인지 유치원 친구들을 더 좋고 재미있어 한다. 유치원에서 집에 돌아오는 순간부터 엄마와 전쟁이 시작되고 큰 소리가 끊이질 않는 상황이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입장에서 자녀교육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솔직히 남보다 잘 키우고 싶은 욕구는 버릴 수 없을만큼 집요하다. 남이 하는 것은 최소한 해주어야 하고, 더 나은 무엇이 있나 살펴보는 것도 대한민국을 사는 부모들의 모습이다. 되돌아보면 우리 어렸을때는 이렇게까지 삭막하지는 않았다. 장난감이 없어도 그냥 친구들과 재미있게 놀고 어울리고 지낸 것이 전부였다. 그런데 이번 책을 읽다보면 또래 아이들과의 접촉을 무척 경계한다. 부모의 역할이 잠식당하고 그 위치를 빼앗겨 버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언듯보면 지금의 세태 흐름과 맞지않고 또래 아이들을 통해 사회성을 키워야한다는 일반적 생각과 그 차이를 보인다.

동양권의 우리 현실과 차이가 있어 저자의 주장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가 반문은 들지만, 점차 우리 사회가 서구화되고 핵가족화되고 갈수록 자녀교육 문제가 큰 이슈가 되는 상황에서 경청할 만한 내용도 있다. 자녀가 아직 사회화단계에 나기전인 자녀의 애착, 성숙단계에서는 부모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역설한다. 사회화 이전에 아이를 또래 아이들에게 그 자리를 내주면 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고 한다. 부모가 중심이 되고 의존하며 자연의 순리대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만 진정한 사회인이 된다는 것이다. 총 5장으로 전반부 3장은 또래지향성이 가져다 준 폐해와 그 원인들을 살펴보고 있고, 4~5장은 제대로 된 부모의 역할과 아이와 관계를 되돌리기위한 해결책이 나와 있다. 특히 자연적 훈육에 관한 일곱가지 원칙(p318~345)는 눈여겨 볼만하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아이들의 또래지향성이 나쁘다고 보지는 않는다. 오히려 부모의 애착결핍의 원인들이 더 문제이고, 어쩔수 없이 그러한 상황을 방치할 수 밖에 없는 사회환경의 탓이 더 크지는 않을까...

책을 읽으면서 두 아이에 대한 자녀교육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계기 되었다. 오늘 큰 아이와  목욕탕을 같이 다녀오면서 그동안 못다 나눈 이야기도 했다. 유치원에서 있었던 이야기며 친구들과 재미있게 놀았던 일, 요즘 관심갖는 한자이야기. 사고 싶은 장난감까지, 그러면서 동생이 있어 좋은 점과 나쁜 점도 들을 수 있었다. 언제 이렇게 컸나 싶을정도로 커버린 아이의 손과 발을 만져보며 앞으로도 많이 안아주고 같이 지켜봐보고 믿음을 심어가는 노력을 하겠다는 다짐도 해본다. 자식을 포기하는 부모는 없겠지만 자식을 지나치게 사회로 내몰거나, 무관심으로 인해 자녀들이 부모가 자신들을 포기했다고 생각되게 해서는 안될 것이다는 점이 이 책이 주는 진정한 메세지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