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어 사전
남경태 지음 / 들녘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1.들어가기 전에

[개념어사전]을 받아보고 나서 처음에 다소 실망스러웠다.
같은 출판사의 [글쓰기전략]처럼 양장도서도 아니고.
크기도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요즘 나오는 소설책 크기)
다시 생각해보니, 가지고 다니기 편하며 어디서나 펼쳐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먼저 깔끔한 비닐포장으로 옷을 입혀
옆에 두면서, 호기심과 잘 모르는 개념순으로 읽어나간후에
다시한번 처음부터 읽어 나갔다. 단락마다 내용이 길지 않아
저자가 말하는 이미지와 핵심어를 염두해두고 보았다.

2.책을 읽으며

글을 쓰거나 읽다가,생각하다보면 가끔 딜레마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생각의 주체는 자신이고, 나는 언어를 빌어 나의 생각을 표현한다,
즉, 나의 생각이 언어보다 먼저 있다고 느껴진다.
이 말은 당연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엄밀히 나의 사고나 의식이 있기전에 나의 언어는 존재하고 있었고,
오히려 우리의 사고는 엄마를 통해 습득한 언어로써 발달되어 간 것이다.
즉,거꾸로 당시대의 언어체계가 나의 사고를 빌어 표현된다는 것이 정확하다.

그렇다면 나의 언어는 주관적 사고범위를 벗어나 그 당시의 객관적,
사회적,문화적 존재로서 의미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번에 소개된 [개념어 사전]을 출판한 남경태 선생님은 수많은
인문학 서적을 번역하시고, 직접 저술활동하신 이력의 소유자다.
저자는 이번 책을 통해 그동안 쓰고 정리한 인문학 전반에 관한
개념으로 다시한번 인문학에 관한 지적탐색에 나선다.

그 분이 말하는 ''개념에 대한 이미지''는 도올 김용옥선생님이
말하는 ''개념의 족보학''과 상통한 면이 있다.
즉,전자는 하나의 개념은 전체 맥락속에서 파악해야 함을 ,
후자는 그 당대의 시대적 문화적 배경을 읽어내야 함을 강조한다.
두 분 모두 국어사전에 나오는 개념 정의에 대한 단편적인 설명을 거부한다.

또한 글과 언어는 각각 시각과 청각에 의존함으로 상당히 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문장에서는 언어가 가지고 있는 상황과 맥락을 충분히 표현하는
형태로 재구성되어야 제 맛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그에 맞는 언어와 개념선택은 중요한 것이다.

다만, 개념이나 이념이 그 자체로 절대적 지속성을 추구하게 되면,
변화하는 사회적 현실을 정당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기에
저자는 이를 사고작용에 촉발하는 매개,수단으로 활용하기를 당부한다.

3.소장가치

요즘에, 논술시험준비에 편승에 많은 서적들이 출판되는데,
그러한 목적이 아니더라도, 이 책은 인문학과 글쓰기에 관심을 가진 독자라면
호기심을 충분히 가지게 한다. 내용역시 인문학지식에 도움을 준다.
부록으로 나와있는 참고문헌도 앞으로 읽을 목록으로 추가해본다.
내옆에 계속 두면서 읽고 생각하고, 포스트잇에 자료를 첨가할 예정이다.
언젠가 나도 나만의 사전을 가져보기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