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짓 - 연애의 모든 순간에 대하여
이정 지음 / 프리즘(스노우폭스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 짓 : 연애의 모든 순간에 대하여

 


"연애의 모든 순간에 대하여! 이건 뻔한 사랑 이야기가 아니다.

감정을 관찰하고, 있는 그대로 느끼고, 다시 사랑하라."

이 정 지음 / 출판사 : PRISM (프리즘)

 

 

 

 

사람은 누구나 끊임없이 사랑을 갈구한다. 하다못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도 사랑에 목말라한다고 생각한다.
나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남녀의 관계가 그렇듯 연애때처럼 서로 밀당의 관계는 꾸준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결혼을 하고 자신의 사람이 되었다고 해서 사랑이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부쩍들기 때문이다.
나만의 결론을 내리자면 연애에 있어 두 사람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듯이 사랑에 대한 행동, 짓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더 표지부터 눈이 갔던 연애의 모든 순간에 대하여 [사랑; 짓] 이라는 책을 읽고 싶었던 것 같기도 하다. 어쩜 결혼 전 나의 연애시절을 다시금 회상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고,
육아 후 지친 감정을 극복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이 되었던 힐링 책이였다.

 

 

아주 뻔한 사랑 이야기나, 연애 지침서 책을 수도없이 많고, 연애시절 많은 연애책을 읽어보았지만, [사랑; 짓] 은 흔한 연애소설이나, 연애 지침서와는 다르다. 감정을 관찰하고, 있는 그대로 느끼고, 다시 사랑할 수 있는 내면의 사랑을 볼 수 있는 눈을 줄 수 있고, 더불어 자기 자신을 더 돌아볼 수 있게 해주는 책이였다.
책 안에는 사랑 덕분에 희열과 비탄과 고통을 겪은 40여 명을 심층 인터뷰하고 해외 심리학 연구 자료를 뒷받침해 쓴 책이기에 사랑에 있어 정말이지 실용적인 정보만을 담은 남녀관계 심리학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이다.
요즘같은 스마트 시대에 접어들면서 관계 맺기가 쉬워졌음에도 불구하고 관계 맺음에 있어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 책의 첫 페이지는 유혹의 기술부터 시작한다. 어쩜 가장 기본이지만 잘 몰랐던 연애 시작을 알려주는 아주 시원한 조언과 함께 면밀한 관찰과 실험을 통해 안내한 책이라서 사랑을 시작하기에 내가 놓치고 있었던
부부에 대해서 등을 긁어주는 것 같은 시원함을 느끼게 된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내가 그 기술을 조금 일찍 알았더라면 이라는 작은 아쉬움도 함께 든다는 것이다.

 

 

 

 '연애의 본질은 상대의 마음을 움직이는 게임이다. 처음 만나 남녀의 마음은 멀리 떨어져 있다. 그 마음을 움직여 서로 접근시켜야 사랑이 시작된다. 마음을 어떻게 움직일 수 있을까?' (P.25)의 문장처럼 예전같으면 겉모습에 치중했다면 요즘은 그렇지 않다. 외모가 오래가지 못한다는 말처럼 상대의 내면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런 연애가 있어
'연애가 상대의 마음을 자기 쪽으로 움직이는 게임이라면, 마음을 움직이는 가장 간단한 도구는 바로 질문이다. 배려 깊고 따뜻한 질문과 성실한 대답은 두 사람의 마음을 한 곳으로 옮겨놓는다.'(P.34) 의 문장처럼 책 안의 구체적인 질문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한다면 상대방의 호응과 동시에 가까운 사람들은 더 돈독하게 인간관계에서는
친밀도를 상승할 수 있으니 이런 구체적인 연습 예문이 있어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우리나라를 사람들은 냄비 근성이라고 칭한다. 어쩜 나는 사랑 역시 냄비 근성이 잠점적으로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처음에는 무척이나 뜨거웠다고 어느 시기가 지나면 금세 식어가는 것이 꼭 냄비근성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결혼의 예를 들자면 결혼은 사랑으로 하고, 부부는 정으로 산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어쩜 이말에 나는 공감한다.
하지만 정으로 산다고 해서 사랑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끊임없이 서로 타협하고 이해한다. 그것이 아마 나는 진정한 사랑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겪는 지친 감정을 극복할 수 있는 깊은 성찰과 심리 · 정신적 지식이 담겨 있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이 연애의 대한 책만이 아니라, 결혼을 하고 부부과의 관계를 다시금 회복할 수 있는 좋은 조언자처럼 나에게 안내해주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자칫 잊고 지내왔던 남편과의 대화를 회상해보니 연애 시절에는 무엇이든 다 따뜻하게 반응을 했던 것 같다. '상대의 말에 귀 기울이고 상대의 기쁨을 나의 것으로 여기는 따뜻한 진심이 꼭 필요하다.' (P.266) 의 말처럼 가장 기본적이지만  그 쉬운 방법을 잊고 살고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이 책을 사랑을 시작하는 남녀뿐만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 때문에 괴로워하거나 성숙한 사랑을 꿈꾸는 모든 이들 그리고 결혼을 하고 육아에 지쳐 잠시 사랑을 놓치고 있는 많은 부분들에게도 [사랑; 짓] 이라는 책을 꼭 추천하고 싶다. 허무맹랑한 사랑이야기 책이 아닌 현명하게 사랑하고 지극히 현실적인 사랑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다면 사랑에 관한 시작, 과정, 결실, 모순, 위기까지 사랑의 실체에 관한 모든 것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책이였다. 상대에게 있어 내 마음을 기술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사랑의 기술을 배우고 싶다면 연애의 모든 순간에 대하여 [사랑; 짓] 책을 꼭 독파하길 바란다.

 

 


 

 

 

 

[ 프리즘 출판사로부터 "사랑; 짓"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