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타운 베어타운 3부작 1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어타운 : 꼭 읽어야 할, 이 시대의 모던 클래식

"눈부신 스토리텔러이자 인간 감정의 마스터

[오베라는 남자]를 뛰넘는 프레드릭 배크만의 새로운 대표작!"

프레드릭 배크만 장편소설, 이은선 옮김  / 출판사 : 다산책방

 

 

[베어타운]이라는 자연소설을 만나기 이 작품안에 어떠한 웃음과 감동이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따스하고, 가슴저리는 소설이라고 일말의 생각을 했다. 사실 '오베라는 남자' 라는 프레드릭 배크만의 베스트셀러를 읽어보질 못했다. 그래서 인자 저자의 작품이 더 궁금했다.
"삼월 말의 어느 날 야밤에 한 십대 청소년이 쌍발 산탄총을 들고 숲속으로 들어가 누군가의
이마에 대고 방아쇠를 당겼다. 이것은 어쩌다 그런 사건이 벌어졌는지에 대한 이야기다."(p.11)
문장과 함께 어?이거뭐지? 라는 나의 생각과 전혀다른 전개의 시작으로 뒷통수를 한대 쿵!하고 얻어맞은 듯한 느낌으로 책을 펼쳐서 읽어 내려가기 시작했다.

 

내가 생각하던 베어타운과는 전혀 다른 베어타운이였다. 해마다 저점 일자리가 사라지고, 계절마다 숲이 빈집을 집어 삼킨다. 한때 잘나가던 시절의 영광도 잊혀진 지 오래, 하지만 이곳 사람들은 아침에 눈을 떴을 때 이 소리가 들리면 미소를 짓는다. 탕, 탕, 탕. 기온만큼이나 급속도로 추락해가는 집값 말고는 남은 게 없어 보여도 그렇게 단 하나의 희망이 울려 퍼지는 소리를 들으며 하루를 시작하고, 또 하루를 견딘다. 쇠락한 작은 마을, 베어타운 그곳에서 다채로운 등장인물과 비극, 가슴에 곰을 품은
사람들의 좌절과 용기, 눈물과 감동으로 얼룩진 희망이라는 단어들을 모두 한번에 만날 수 있는 책이였다.

 

 

어린 고등학생들이 오로지 전국청소년하키선수권대회 4강에 진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영웅 대접을 받으며, 이기기만 하면 된다는 논리에 따라 윤리와 정의는 뒷전으로 몰린 베어타운 모습은 하키라는 단어를 마치  우리 아이들이 늘 겪고 있는 문제와 같은 사회와 닮은 구석이 많다.
[*스포주의]베어타운에서는 하키를 상징화하고 있다. 그 안에서 어마어마한 기대를 받고 있는 하키 선수들이 있고 이 사건이 발달은 케빈과 벤야민(벤), 마야, 아니의 하키단의 결승진출 파티에 가게되면서 공동체를 갈기갈기 찢어놓는 비밀이 생기게 된다. 케빈이 마야를 성폭행 하는 현장을 아맛이 목격한 사건이다.
이 작품은 대의에 반하는 선택을 하는 한 개인의 용기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적나라하게 비추면서도 희망이라는 단어를 생각나게끔 해준다. 아마 이 사건은 마치 요 사이 우리 사회를 강타한 미투 운동의 관점에서 시사하는 바를 느끼게 해주는 것 같았다.

 

 


[베어타운] 속 청소년팀 하키선수들이나 캐빈아버지를 비롯한 후원자들, 하키팬인 마을 사람들까지...
모두 하키라는 틀안에 갇혀 있는 전체주의로 진실이 확실하지 않자 자신이 믿고 싶은 대로 믿는다.
어쩌면 이책을 통해 우리 현 사회를 돌아보게 하고, [베어타운] 안 자기 자식이 피해자가 됐건 가해자가 됐건, 아리를 보호하기 위해 부모의 입장에서 말해주는 이들의 행동에 공감하기도 눈물짓기도 분노하기도 했다.
베어타운 주민들이 정말이지 마치 우리가 실제 살고 있는 사회에서 누구나 있을 법한 있을지도 모를 실존인물들처럼 느껴졌기에 이 작품안의 사건들이 벌어졌을 때 더 가슴이 아팠는지도 모른 것 같다.
만약 내가 마야의 상황이 되었다면 나는 그런 용기와 희망이라는 단어를 일깨울 수 있었을까. 아님 내가 베어타운에 살고 있는 주민이였다면 어떤 행동을 했을까? 라는 참 대립적인 답을 내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가슴이 먹먹하면서도, 생각을 많이 하게 된 책이였던 것 같다.

 

 

[ 다산책방 출판사로부터 "베어타운"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서평단#베어타운#오베라는남자#프레드릭배크만#서포터즈#출판사#책추천#인생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