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흑산 - 김훈 장편소설
김훈 지음 / 학고재 / 2011년 10월
평점 :
요즘은 번역소설이 참 많다. 또 많이 읽힌다. 나도 번역소설을 즐겨 읽는 편인데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을 집어 들고 좀 멍했다. ‘눈에 보이는 듯한’ 것이 아니라, ‘보지 않고도 알 것 같은’ 그런 풍경들이 떠오르더라. 이래서 다들 김훈의 문장이라고 말하는가 보다 했다. 번역소설들의 문장을 폄하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지만, 우리작가가 우리의 이야기를 풍부한 우리 글로 쓴 책은 역시 뭔가 달랐다. 문장도 문장이지만 생소한 표현이나 단어들을 만나는 것도 다소 신선한 충격이었다. 소설을 읽으며 사전을 뒤적였던 것은 정말 오랜만이었다.
이 책은 신유박해를 소재로 하고 있지만, 종교적이라고 하기는 뭣하다. 다만 너무 절박하기 때문에 살기 위해 신을 찾을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과 신을 저버려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처절하게 신을 찾고 더 나은 세상을 바랐지만 결국 좌절하는 이들의 이야기 속에는 사공, 마부, 노비, 어부, 궁녀, 관원, 선비, 관리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등장한다. 그들의 이야기는 산발적으로 이어지지만 결국에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고단하다는 말로는 다 표현하지 못할 팍팍한 인생들이 정약전이 흑산 으로 유배를 떠나 배반의 삶을 이어가고, 황사영이 백서를 쓰고 발각되어 순교의 길을 걷게 되는 일련의 과정들 속에서 한데 뭉쳐져 있다.
성리학 질서는 무자비한 것이 아니고, 천주의 교리가 사특한 것도 아니다. 배교한 것을 꼭 씻지 못할 치욕이라고 할 수 없고, 순교를 거룩한 희생이라고 추켜세우고 싶지 않다. 나는 종교가 없는 사람이라서 그런지, 이 모든 인물들의 이야기가 그저 살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으로 보였다. 정순왕후의 자교는 신속하게 붕괴되기 시작하는 신분질서로 인한 교란과 사회의 혼란 속에서 지도자로서 살아내기 위한 방편이었을지도 모른다. 궁궐에 있는 사람보다 참혹한 현실을 더욱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던 황사영이 천주에 대한 굳은 믿음과 구원의 희망을 품게 된 것은 어쩌면 지식인으로서의 그의 삶에 당연한 수순이었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배교하고 흑산 으로 유배를 떠나는 정약전에게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고자 하는 본능적인 의지를 보았다. 마노리의 삶도, 강사녀와 갈갈녀 그리고 기구한 박한녀와 이 이야기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인물인 박차돌의 행동도 결국은 모두 사람답게 살고자 하는 몸짓이었다. 이들의 처절함이 지독한 기근과 광포한 학정에 신음하던 많은 백성들의 삶과 겹쳐지면서 보두 다 안쓰럽고 불쌍했다.
되돌아보면 나쁜 사람은 없는 것 같은데 너무 많은 사람들이 스러지는 그런 일들이 있다. 안타깝다, 안쓰럽다는 말로 덮을 수 없는 비극을 누구에게 어떤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그저 괴로운 삶을 살았던 사람들의 손에 잡힐 것 같이 생생한 생의 모습만이 머리를 멍하게 만들었다.
복잡한 구성과 일일이 이름을 적어내지도 못할 정도로 많은 인물들이 들고 나는 통에 어리둥절했다가 차츰차츰 이어지는 그들의 이야기에 조금 소름이 돋았다.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바로 전해지는 것 같은 치밀한 묘사가 상상해 본적도 없는 슬픈 영상들이라 가끔은 읽기가 괴로웠다. 나한테 문장을 보는 눈 같은 건 없지만 확실히 다르다는 건 알겠더라. 여러 가지로 인상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