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마음 다친 줄 모르고 어른이 되었다 - 힘들 때 나를 지켜 주는 내 손안의 작은 상담소
김호성 지음 / 온더페이지 / 2025년 3월
평점 :

생각, 마음, 몸은 치유의 3요소다. 이 중에 무엇이 우선일지는 상식으로 알 수 있다. 다만 우선 순위에 따라 나를 지키는 순서가 달라지는 것일뿐이다.
알코올 중독 어머니와 폭력적 아버지 밑에 어린 시절을 보낸 저자는 일찍 철이 들었다. 힘들어서 공부를 시작한 저자. 스스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심리학과 무의식, 뇌과학을 공부했다. 이 책은 어려움에 처한 힘들고 절망적인 나를 발견한 이들을 위한 심리 상담사의 뇌과학 셀프 테라피다.
구성은 뇌라는 미로 속 마음 아이 찾기, 상처를 치유로 바꾸는 뇌 활용법 실사례로 공황장애, 부부관계, 강박증, 뇌의 작동방식 역이동하기, 어둠에서 빛으로 체질이 바뀌는 100이라는 시간속에 가족, 학창 시절, 사회생활의 상처 사례와 해소방법으로 되어있다. 상처를 푸는 두가지 상황과 관계적으로 풀기가 흥미로웠다. 사장의 갑질을 그냥 권선징악 영화로 보라는 방법은 거리두기다. 나를 가두지 말고 풀어주는 것이다. 이론처럼 쉽지는 않지만 한 번 해 보는 거다.
학대하는 아버지가 타인의 시선을 중요시 한다면 그것을 역이용해서 아버지가 자기를 때리는 모습을 타인이 보고 소문이 나서 아버지가 자신의 행동을 반성한다는 사례를 보니 개인의 성향에 따라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다. 명예, 권력, 타인의 시선, 인정 욕구, 자기 존중 인간의 습성을 이해하고 것이다. 우리가 어떤 결정을 할 때 합리적인 결정보다 개인의 심리에 의해 결정을 한다.
치유의 첫 단계는 공명. 자신의 내면의 소리를 듣는 것이다. 내가 원하는 것,내 마음 알아차림이 공명이라면 해소방법은 상상력이 필요한 구간, 해결방법을 찾는 것이다. 알아차리고 자신에게 진심으로 하는 이야기 해주기. 어떤 분이 말씀하신 사랑 고파병으로 인한 정신병이 현대인의 가장 심각한 질병 중 하나인 것 같다. 치유법은 각자가 다르겠지만 종이에 하나씩 메모해 가면서 풀어 나가는 방식은 나도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어떤 일을 선택할 때 장단점 3가지를 적고 1가지 골라서 결정하면 단순하게 생각 정리가 되곤했다. 감정일기책에 나의 감정을 적대 보면서 나의 마음 살피기를 해 보고 자기를 안아주는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살면서 마음의 기운이 없을 때 다시 보고 싶어지는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