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프 - 술의 과학 사소한 이야기
아담 로저스 지음, 강석기 옮김 / Mid(엠아이디)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평소에 술을 즐겨마시는 않지만 직장에서 회식이내 친한 동료끼리 함께할 때 반드시 술을 마시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평소" 술은 술술 넘어갈 때 마셔야 한다”한다는 지론을 갖고 있다. 이번에 우연히 읽게된 "프루프, 술의 과학(아담 로저스 지음)"은 술에 관한 나의 지식을 깊고 넓게 만들어 준 책이다.


이 책의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내용이 많다. 마치 술의 모든 것을 전달하는 텍스트와 같다. 술이 만들어지는 과정, 제조과정의 필수 요소, 맛과 향, 그리고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등  여덟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부류의 책은 일반적으로 한꺼번에 다 읽기보다는 전체 내용 중에서 관심이나 흥미가 가는 부분을 골라 읽는 것이 지루하지 않고 끝까지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독자는 오히려 술이란 한 가지 주제에 많은 정보를 접하게 되어 본문의 앞부분만 읽고 책장을 덮어버릴 수 있는 확률이 높다.

하지만 이 책은 재밌다. 술과 관련된 많은 내용에도 불구하고 전체 내용이 술이 만들어지는 처음 단계부터 우리가 술을 마시고 난 뒤에 흔히 겪게되는 고통까지 순차적으로 본문이 잘 배열되어 있어 한 번 책을 읽게 되면 다음 내용을 끝까지 읽게 만드는 전체 흐름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익숙하다. 본문을 읽다보면 현재 우리가 주변에서 접하는 술 종류나 브랜드가 친숙하게 등장한다. 저자는  우리에게 “소비자로서 술에서 얻는 즐거움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 이 책을 썼다"고 말한다. 그 만큼 술은 우리에게 즐거움을 제공하는 개체임에 틀림없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저자는 "술은 우리의 정신을 변화시키고 술 이야기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경험과 그것과 관련하여 발견되는 사항을 연구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한다. 

개인적으로 술을 잘 마시지는 못하지만, 와인에 관심이 많은 애호가로서 이 책을 읽으며 여러가지 재미있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특히 맛과 향(6장)에서 와인의 가치를 판별하거나 결정하는 전문가 집단인 소믈리에와 아무추어의 차이는 와인을 평가하고 기술하는 단어를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냐의 차이일 뿐 식별력은 큰 차이가 없다고 설명하면서 와인을 고를 때 자신감을 가지라고 위로한다.
 
그 외에도 와인을 주관적인 관능아닌 객과적이고 과학적인 통계학적 방법으로 선별 또는 판별하기 위한 미국 프린스톤 대학의 경제학자들의 모임 이야기, 와인의 향미(향과 맛의 조합)를 정확기 분석하기 위한 기체크로마토그래프 후각측정기, 와인의 향과 맛을 느끼려면 마셔야 하는 이유, 그리고 와인의 향미의 과학적 분석과 우리의 후각 인지 메카니즘 등 어떤 책에서 자세히 알지 못했던 그외의 많은 술과 관련된 지식을 알 수 있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 책을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효모와 당으로 발효, 증류, 숙성 과정을 거친 알코올(에탄올)은 우리의 뇌와 몸에 영향주고 때로는 숙취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한 단계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는 책이다.” 그래서 술에 조금이라도 관심있는 모든 이에게 읽어볼 것을 권한다. 그 이유는 저자가 강조했던 것처럼 “술을 알고 마시면 휠씬 더 즐겁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